- 영문명
- Research Trends on Empathy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 발행기관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 저자명
- 정미선(Miseon Jeong) 채영란(Youngran Chae)
- 간행물 정보
- 『유라시아연구』제21권 제2호, 151~165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영유아교사의 공감능력과 관련된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 향후 영유아교사의 공감능력 연구의 과제와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4년부터 2024년까지 10년간 석·박사 학위논문 122편, 학술지 123편 총 245편을 연구시기, 변인에 따른 분석, 연구대상, 연구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2010년 1편의 논문을 시작으로 2019년 24편, 2023년에는 37편 연구가 게재되어 공감능력 연구에 대한 관심이 지속 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변인에 따른 분석에서 공감능력이 독립변인인 연구가 192편으로 가장 많았고, 종속변인의 경우는 15편, 매개변인으로 34편, 조절변인은 4편 순으로 수행되었다. 셋째, 연구대상별 분석으로는 어린이집 교사 103편, 영유아교사 85편, 예비교사 47편, 유치원교사 10편 순으로 이루어졌다. 넷째, 연구방법별 동향은 양적연구가 241편으로 가장 많이 이루어졌으며, 혼합연구 3편, 질적연구 1편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영유아교사 공감능력 관련 연구의 의미를 재발견하고, 교사의 공감능력을 높일 수 있는 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 자료로활용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research trends related to the empath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o suggest the tasks and directions of future research on the empath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o this end, a total of 245 papers in 122 master's and doctoral dissertations and 123 academic journals were analyzed for 10 years from 2014 to 2024.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starting with 1 paper in 2010, 24 studies were published in 2019, and 37 studies were published in 2023, indicating that interest in empathy research is continuing. Second, in the analysis according to the variables, empathy was the most common independent variable with 192 studies, followed by 15 studies with dependent variables, 34 studies with mediating variables, and 4 studies with control variables. Third, the analysis by study subjects consisted of 103 papers for nursery school teachers, 85 papers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47 papers for pre-service teachers, and 10 papers for kindergarten teachers. Fourth, the trend by research method showed that quantitative studies were the largest with 241 papers, followed by mixed studies with 3 papers and qualitative studies with 1 paper. Through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the meaning of research related to the empath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can be rediscovered and used as basic data for preparing ways to increase teachers' empathy.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유니폼 구성요소가 유니폼만족과 학과애착도에 미치는 영향
- 영유아교사의 공감능력 관련 연구 동향
- Determinants of Export Competitiveness of the Manufacturing Industry
- 한·중 고전시가에 나타난 술 이미지 비교 연구
- 사실적 사진의 리얼리티와 예술성에 관한 연구
- 한국의 외국인정책과 교육발전특구 제도의 연계 필요성과 방법론
- 비엣 탄 응웬의 『동조자』에 나타난 형제애 고찰과 국제관계론적 해석
- Is the Sharing Economy Ushering in the End of Ownership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Focusing on Uber and Airbnb Cases
- 중소기업의 친환경기술 도입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Jump Risk in Stock Markets and CDS Premiums: Evidence from Asian Countries
- 중국 성인여성의 피부관리 행동 및 피부관리실 이용실태에 따른 피부노화 인식과의 관련성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인공지능(AI)과 윤리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 장애 및 장애위험 영유아를 위한 선별 및 진단 도구에 대한 문헌 분석: 2010년에서 2024년까지
- 이주민의 학습 생애사에 관한 질적메타분석 - 형식 학습 경험을 중심으로
- 노년기 자기돌봄에 관한 통합적 문헌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