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Comparative Study of Alcohol Images in Korean and Chinese Classical Poetry: Focusing on Lee Gyu-Bo and Tao Yuanming's Poetry
- 발행기관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 저자명
- 유가명(Jiaming Liu) 강덕제(Deogje Kang)
- 간행물 정보
- 『유라시아연구』제21권 제2호, 103~114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한국과 중국의 고전시가에서 나타난 술 이미지를 비교 분석하여 이규보와 도연명의 시가에서 술이 가지는 상징성과 문화적 의미를 고찰하였다. 이규보와 도연명은 술을 중요한 창작 매개로 삼아 시를 통해 자신들의 삶의 철학과 감정을 표현하였다. 도연명의 시에서는 술이 고요함, 초탈감, 자기 위안을 추구하는 매개체로 사용되며, 이는 그의 자연과 전원생활에 대한 동경과 사회에 대한비판적 시각을 반영한다. 반면, 이규보의 시에서는 낭만적이고 호방한 색채가 두드러지며, 술을 통해자유롭고 이상적인 삶을 추구하고, 현실의 어려움과 고뇌를 잊고자 한다. 본 연구는 이규보와 도연명의 시를 술에 대한 인식, 술에 담긴 자연 풍류, 술에 담긴 입신양명의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두 시인은 모두 술을 통해 자신들의 이상과 자유로운 정신을 표현하고 있으며, 각자의 시에서 나타나는 술 이미지는 당대의 사회적, 문화적 배경을 반영하고 있다. 이러한 비교 연구를 통해 한국과 중국 고전시가의 문화적 차이와 공통점을 이해할 수 있으며, 술이 시가에서 중요한 상징적역할을 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comparatively analyzes the imagery of alcohol in classical Korean and Chinese poetry, focusing on the works of Lee Gyu-bo and Tao Yuanming, to examine the symbolic and cultural meanings of alcohol in their poems. Both poets used alcohol as a significant medium in their creative processes, expressing their life philosophies and emotions through it. In Tao Yuanming's poems, alcohol serves as a medium for seeking tranquility, transcendence, and self-consolation, reflecting his longing for nature and rural life and his critical perspective on society. Conversely, Lee Gyu-bo's poems are characterized by a romantic and bold tone, using alcohol to pursue a free and ideal life and to forget the hardships and pains of reality. This study analyzes Lee Gyu-bo and Tao Yuanming's poems in terms of their perception of alcohol, the natural elegance embedded in alcohol, and the pursuit of success and fame (ipsinyangmyeong) associated with alcohol. Both poets used alcohol to express their ideals and free spirit, with the imagery of alcohol in their poems reflecting the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s of their times. Through this comparative study, we can understand the cultural differences and commonalities in classical Korean and Chinese poetry and confirm the significant symbolic role of alcohol in poetry.
목차
Ⅰ. 서 론
Ⅱ. 고전시가 속에 술의 문화적 함의
Ⅲ. 술 이미지 비교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유니폼 구성요소가 유니폼만족과 학과애착도에 미치는 영향
- 영유아교사의 공감능력 관련 연구 동향
- Determinants of Export Competitiveness of the Manufacturing Industry
- 한·중 고전시가에 나타난 술 이미지 비교 연구
- 사실적 사진의 리얼리티와 예술성에 관한 연구
- 한국의 외국인정책과 교육발전특구 제도의 연계 필요성과 방법론
- 비엣 탄 응웬의 『동조자』에 나타난 형제애 고찰과 국제관계론적 해석
- Is the Sharing Economy Ushering in the End of Ownership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Focusing on Uber and Airbnb Cases
- 중소기업의 친환경기술 도입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Jump Risk in Stock Markets and CDS Premiums: Evidence from Asian Countries
- 중국 성인여성의 피부관리 행동 및 피부관리실 이용실태에 따른 피부노화 인식과의 관련성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인공지능(AI)과 윤리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 장애 및 장애위험 영유아를 위한 선별 및 진단 도구에 대한 문헌 분석: 2010년에서 2024년까지
- 이주민의 학습 생애사에 관한 질적메타분석 - 형식 학습 경험을 중심으로
- 노년기 자기돌봄에 관한 통합적 문헌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