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재가 노인의 돌봄 유형에 따른 우울 영향요인
이용수 139
- 영문명
- Factors Influencing Depressive Symptom Based on the Type of Care for Older Adults Living at Home
- 발행기관
- 한국간호연구학회
- 저자명
- 이한이(Han Yi Lee) 안지연(Ji Yeon An) 장선영(Sun Young Jang)
- 간행물 정보
- 『한국간호연구학회지』제8권 제2호, 1~12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간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 This study examines how different types of care-formal and informal-affect depressive symptoms in older adults at home. Methods : Using data from the 2020 National Survey on Older Adults in South Korea, which included responses from 498 elderly individuals receiving care, we conducted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depressive symptoms based on the type of care received. Results : The analysi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depressive symptoms between those receiving formal and informal care. In the formal care group, a better subjective perception of health was associated with a lower likelihood of depressive symptoms (OR=0.47, p<.001), while an increase in chronic conditions (OR=1.15, p=.007) and higher dependency in instrumental daily activities (OR=1.08, p<.001) increased the risk of depressive symptoms. Conversely, improved cognitive function was linked to reduced depression risks (OR=0.96, p<.001). In the informal care group, similar trends were observed. Notably, family cohabitation significantly influenced depressive symptoms outcomes, highlighting the importance of family support in care dynamics. Access to necessary facilities and adequate care provision also emerged as critical factors in mitigating depressive symptoms risks across both care types. Conclusion : The study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tailored interventions that enhance care accessibility and adequacy, particularly in informal settings, to improve mental health outcomes among the elderly.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 의
Ⅴ.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간호학분야 BEST
- 인공지능을 적용한 국내 간호교육 연구 동향 분석
- 보건의료인이 인식하는 PA 간호사에 대한 내용 분석
- 간호대학생의 인공지능에 대한 지식, 인식 및 수용태도가 인공지능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의약학 > 간호학분야 NEW
- 남녀 재가 노인의 자살생각 영향요인 : 2020년 노인실태조사 자료 이용
- 간호대학생의 감성지능과 의사소통 능력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상급종합병원 현장교육간호사, 병동 수간호사, 프리셉터 간 현장교육간호사에 대한 역할기대와 역할수행 및 협력인식 비교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