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Mediating Effects of Communication Ability and Organizational Justi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ing Work Environment and Nursing Performance in Clinical Nurses
- 발행기관
- 한국간호연구학회
- 저자명
- 김병희(Byung Hee Kim) 오영주(Young Ju Oh)
- 간행물 정보
- 『한국간호연구학회지』제8권 제2호, 13~27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간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Purpose : This present study investigated communication ability, organizational justice, and their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ing work environment and nursing performance among clinical nurses. Methods : This cross-sectional study included 192 participants. Data were collected between May 1 to May 24, 2023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and analyzed using SPSS 25.0 and SPSS PROCESS Macro (4.0). Results : The mean score for nursing performance was 3.77±0.49 (range 1∼5). Nursing performance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nursing work environment (r=.39, p<.001), communication ability (r=.68, p<.001), and organizational justice (r=.49, p<.001). Using PROCESS macro model 4, nursing work environment was found to directly affect nursing performance (β=.39, p<.001). Additionally, nursing work environment directly affected nurses’ communication ability (β=.49, p<.001) and organizational justice (β=.50, p<.001). The full mediating effect of communication ability(β=.08, p=.214, 95% bootstrap. CI: 0.25∼0.45), and organizational justice (β=.20, p=.006, 95% bootstrap. CI: 0.13∼0.32) partial mediation effect on nursing work environment and nursing performance. Conclusion : Communication ability and organizational justice in Clinical Nurses should be considered when developing nursing interventions to enhance nursing work environments and improve nursing performance.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 의
Ⅴ.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간호학분야 BEST
- 보건의료인이 인식하는 PA 간호사에 대한 내용 분석
- 보건복지계열 대학생의 직업윤리의식과 사회적 책임이 정신질환자에 대한 옹호태도에 미치는 영향
- 인공지능을 적용한 국내 간호교육 연구 동향 분석
의약학 > 간호학분야 NEW
- 가상현실 기반 간호교육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임상수행자신감 및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체계적 문헌고찰
- 발달장애 아동 부모 대상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체계적 고찰
- SBAR를 활용한 교육 프로그램이 아동 간호사의 의사소통 명확성, 의사소통 자신감 및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