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ing personalities of Characters in a Movie
- 발행기관
- 한국영화학회
- 저자명
- 김성훈
- 간행물 정보
- 『영화연구』제28호, 133~166쪽, 전체 34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6.04.30
6,8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Film is a form of time that exists in a space. It is very distinguishable with other kinds of art while has a close interrelationship with them. For films, characters are critical elements that are of structure itself and lead the story of a film. Characters are closely related with personality description. Their personal backgrounds such as age, education, job and family back ground are important sources to conceptualize their personalities. The most traditional way to explain personality was finding out character's behavioral patterns and naming them or using categories that are commonly grouped to explain certain types of people's behavior. It is known that a character's personality should be consistent and manifested by behavior. Behaviors in a movie are expressed by actor or actress' movements and talking. However the characters in a movie are artificial created by other people's thoughts. Thus, constructing personality, although much time and effort were devoted, is likely to miss the aspect of personality that are mentioned above. Because of that,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consistency in a character. Personality is the one that is as critical as much influential to a person's behavior, thus the personality in a character in a movie is also very important. This study categorizes patterns of characters using the MBTI (Myers-Briggs Type Indicator) theory. The categorized patterns in the movie and the results of MBTI are compared and analyzed to suggest the consistency in a character which might have missed in the course of making a scenario or picturing a movie.
목차
1. 여는말
2. 몸말
3. 맺음말
참고 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임권택 영화에 재현된 원초적 장면 promal scene과 은폐기억screen-memory 고찰
- 영화의 창구화와 유통전략에 대한 연구
- 조선영화 비평사 小考
- MBTI로 본 영화 속 인물성격 분석 연구
- 〈쉬리〉 ‘이후’, 한국 영화에서 가족 이데올로기의 향락과 환상의 재구성에 관하여
- 1980년대 한국영화에 등장한 포스트식민주의적 혼종성
- <민족과 운명>의 민족주의 담론 연구
- 영화에서의 일제말기 신체제 옹호 논리 연구
- 메타-영화로서의 알렉스 프로야(Alex Proyas)의 「다크 시티Dark city」
- 아시아 영화교육에 대한 연구
- 사단법인 한국영화학회 정관 외
- 조폭코미디영화의 폭력에서 드러나는 희생제의적 전략
- 한국영화사 초기에 있어서 이토히로부미(伊藤博文)의 영화이용에 관한 연구
- 한국영화 붐의 구조적 위기와 정책적 대안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영화 [올드보이]와 소포클레스 「오이디푸스 왕」의 상동성 연구
-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