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f Education Program for Young Asian Filmmakers
- 발행기관
- 한국영화학회
- 저자명
- 박종호
- 간행물 정보
- 『영화연구』제28호, 225~249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6.04.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Asian Film Academy (AFA) is an academic program for asians to share the result of a huge success of Korean cinema. The AFA program consists of film education and production aimed at contributing to the continuous growing of Asian cinema. AFA is also a part of program to keep the promise to be reborn as a productive film festival and become a hub of asian film industry. It is meant for PIFF to take next level and face new challenge with other asian nations not only for the future of Asian cinema but also for the cinema as a whole. AFA has been launched with a main goal of contributing for continuously growing asian cinema. This means that AFA will not be end as one-time event. AFA brings together young, prospective filmmakers in Asia and provides them with an opportunity for networking through filmmaking. Competent filmmakers in Asia, who have been introduced through or have close relationship with Pusa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give guidance and coaching to the prospective Asian filmmakers for preparing them for the future of asian cinema. Young and talented future filmmakers from all around Asia participated in AFA. Unlike other existing workshops, AFA is not only for experienced filmmakers but also for many asians who have not had any chances to get proper film educations to discover his or her cinematic potentials. Even after the workshop was finished, AFA will continue to help participants persist in filmmaking as well as to establish network for them. AFA must keep expending its boundaries for young and talented Asian future filmmakers to set the broader collaborative networks.
목차
1. 들어가는 말
2. 해외의 사례
3. 아시아영화아카데미 Asian Film Academy(AFA)
4. 정리하는 글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임권택 영화에 재현된 원초적 장면 promal scene과 은폐기억screen-memory 고찰
- 영화의 창구화와 유통전략에 대한 연구
- 조선영화 비평사 小考
- MBTI로 본 영화 속 인물성격 분석 연구
- 〈쉬리〉 ‘이후’, 한국 영화에서 가족 이데올로기의 향락과 환상의 재구성에 관하여
- 1980년대 한국영화에 등장한 포스트식민주의적 혼종성
- <민족과 운명>의 민족주의 담론 연구
- 영화에서의 일제말기 신체제 옹호 논리 연구
- 메타-영화로서의 알렉스 프로야(Alex Proyas)의 「다크 시티Dark city」
- 아시아 영화교육에 대한 연구
- 사단법인 한국영화학회 정관 외
- 조폭코미디영화의 폭력에서 드러나는 희생제의적 전략
- 한국영화사 초기에 있어서 이토히로부미(伊藤博文)의 영화이용에 관한 연구
- 한국영화 붐의 구조적 위기와 정책적 대안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영화 [올드보이]와 소포클레스 「오이디푸스 왕」의 상동성 연구
-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