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Study on the History of Chosun Film Criticism
- 발행기관
- 한국영화학회
- 저자명
- 김수남
- 간행물 정보
- 『영화연구』제28호, 167~198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6.04.30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beginning of Chosun film criticism before libertion from Japan was discussed in the article of . Of course the jonalism article was shown from 1903. And this style film article or film criticism was continuously written untill it's film criticism coming out in 1923. After Dir. Na, Unkyu's film work, Chosun film world was it.s full glory and the movement of proletaria arts appearing stimulated the change of Chosun's film criticism They who follow the ideology of the proletaria arts make the intense discusion of film criticism on dir. Na's work during three months. The first discussion of film criticism started between Seo, Gwangje and Lee, Pilwoow, the second discussion continued Yun, gijeong and Na, Ungyu. Through this discussion we can fined the difference of their conscious of Chosun film critic and also we confirmed the discurse of Chosun film criticism at that time. After or before the discussion the world of Chosun filmcriticism was begining changed. Their conscious of filmcritic for actual function of sociality was retrograded. Especially in sound film's period Chosun film criticism emphasised technological part. After all the end of Japanese's rulling period Chosun film critics gave up their duty for society. In this thesis I studies on the present situation of Chosun film criticism by the pointview of the history of Chosun film criticism. As the result I can look all around the social function of Chosun film criticism and the social influence by film criticism. And I can judge the level of the form of Chosun film criticism and actual function of it.
목차
1. 여는말
2. 조선영화 탄생 이전의 영화광고
3. 조선영화 탄생 이후의 영화비평 의식의 자각
4. 조선영화 비평논쟁 고찰
5. 조선발성영화시대 이후 본격적인 영화기술비평과 조선영화비평의 퇴조
6.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임권택 영화에 재현된 원초적 장면 promal scene과 은폐기억screen-memory 고찰
- 영화의 창구화와 유통전략에 대한 연구
- 조선영화 비평사 小考
- MBTI로 본 영화 속 인물성격 분석 연구
- 〈쉬리〉 ‘이후’, 한국 영화에서 가족 이데올로기의 향락과 환상의 재구성에 관하여
- 1980년대 한국영화에 등장한 포스트식민주의적 혼종성
- <민족과 운명>의 민족주의 담론 연구
- 영화에서의 일제말기 신체제 옹호 논리 연구
- 메타-영화로서의 알렉스 프로야(Alex Proyas)의 「다크 시티Dark city」
- 아시아 영화교육에 대한 연구
- 사단법인 한국영화학회 정관 외
- 조폭코미디영화의 폭력에서 드러나는 희생제의적 전략
- 한국영화사 초기에 있어서 이토히로부미(伊藤博文)의 영화이용에 관한 연구
- 한국영화 붐의 구조적 위기와 정책적 대안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영화 [올드보이]와 소포클레스 「오이디푸스 왕」의 상동성 연구
-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