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Men without Movie Cameras: Some Thoughts on the Handmade Found Footage Films
- 발행기관
- 한국영화학회
- 저자명
- 서현석
- 간행물 정보
- 『영화연구』제30호, 127~164쪽, 전체 38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6.12.31
7,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Avant-garde film artists Peter Tscherkassky and Naomi Uman have utilized two distinct film-making approaches rooted in the 1920's and the 1930's, namely handmade film and usage of found footage. These artists have recently visited Korea, showed their works, and gave talks through film festivals. This study examines some of the aesthetic issues brought up by their works and public talks. In order to help better understand the full possibilities explored by both artists, I investigate the historical circumstances that led to the emergence of these two traditions, both of which were introduced in the golden era of the avant-garde movement in reaction against the illusionist basis of narrative cinema. While the works of Tscherkassky and Uman embody the self-reflexive strategies of the avant-garde, they evoke violence and death, inevitably driven by their formative concerns. I suggest that the element of death in their films are not simply the reflections of the artists' individual interests or the inherent theme of the found footage, but rather an inevitable effect of meticulous scrutiny on the essence of the film medium. The avant-garde pursuit of self-reflexivity is itself a thanatoid decomposition of the creative drives that characterize the cinematic medium and culture.
목차
1. 들어가며:
2. 역사적 문맥
3. 수제영화와 습득영상물의 만남
4. 결론을 대신하여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내셔널 시네마의 유통과 ‘작가’ 감독의 브랜드화에 대한 비판적 성찰
- 일제말기 국책영화의 스타일에 대한 일 연구
- 북한영화에서 드러나는 의식/사유, 도덕/윤리, 슬픔/기쁨의 갈등
- 상업미학의 관점에서 본 〈형사〉
- 사단법인 한국영화학회 정관 외
- 스탠리 큐브릭의 <아이즈 와이드 셧>의 신화적 해석
- 가족의 해체와 재구성
- 카메라를 버린 사람들
- 박스오피스
- 1950년대 후반기 신문소설의 각색과 멜로드라마의 분화
- 1960년대 남북한 정권의 정통성과 영화
- 활극배우로서 나운규의 민족정신과 영화 속 연인들의 상징에 대한 고찰
- 1970년대 『영상시대』 읽기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청소년기의 치료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을 적용한 디지털 디톡스(Digital Detox) 효과성 연구
-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Z세대 생활체육 동호인들의 SNS 중독 경향성과 불안정 성인애착이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즐거움과 몰입을 통한 수익성 기대가 NFT 구매 의도에 미치는 매개효과 분석: UTAUT2와 합리적 무관심(RI)을 중심으로
- 생태체험이 청소년의 자연친밀감, 환경태도, 환경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