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daptation of Popular Novels and Diversification of Melodrama in the Late 1950s
- 발행기관
- 한국영화학회
- 저자명
- 이길성
- 간행물 정보
- 『영화연구』제30호, 195~221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6.12.31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Korean film flourished enormously in the late 1950s. Melodrama was the genre that gained the most popularity and was made in the most numbers during these years. Popular novels such as serial stories in newspapers were often adapted and established the generic foundation for melodrama. By analyzing two films based on popular novels around 1957, this thesis attempts to inquire into how the melodramas of the time changed: The Pure Love(Sun-aebo) and The Star of Lost Paradise(Silag-won-ui byeol). The former was adapted from serial stories in newspapers of 1930s and enjoyed unprecedented favor. The film is based on a love triangle which was the conventional plot of love stories at the time. However it made alterations to the triangle. The Star of Lost Paradise, originated from the novel in 1950s, went further than the other. The love triangle lost its effectiveness as a plot. The love relationship of the main characters goes through complications as family matters get involv ed. All of the two novels were made into movies in 1957. The Star of Lost Paradise was not only a huge hit at the box office but also generally applauded by critics. The success of and The Pure Love was no match for that of The Star of Lost Paradise. The thesis argues that the latter reflects the social circumstances of the time through its transformed structure of love relationship and the challenging attitude of the female characters towards the establishment. These changes indicate the schema of a love triangle, a docile woman and a true love shown in the 1930s' novels was no longer valid. The Star of Lost Paradise illustrates a new kind of audience who went along with the changes of the values.
목차
1. 서론
2. 영화와 소설의 관계
3. 1950년대 영화에 보이는 사랑과 연애의 가치관
4.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내셔널 시네마의 유통과 ‘작가’ 감독의 브랜드화에 대한 비판적 성찰
- 일제말기 국책영화의 스타일에 대한 일 연구
- 북한영화에서 드러나는 의식/사유, 도덕/윤리, 슬픔/기쁨의 갈등
- 상업미학의 관점에서 본 〈형사〉
- 사단법인 한국영화학회 정관 외
- 스탠리 큐브릭의 <아이즈 와이드 셧>의 신화적 해석
- 가족의 해체와 재구성
- 카메라를 버린 사람들
- 박스오피스
- 1950년대 후반기 신문소설의 각색과 멜로드라마의 분화
- 1960년대 남북한 정권의 정통성과 영화
- 활극배우로서 나운규의 민족정신과 영화 속 연인들의 상징에 대한 고찰
- 1970년대 『영상시대』 읽기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영화는 경찰 부패를 어떻게 재현하는가: 정당화와 침묵의 서사 분석
- 알모도바르의 영화 <룸넥스트도어 The Room Next Door>를 통해 본 죽음의 사회적 드라마
- 안성기의 스타 페르소나 연구: 1980년대 영화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