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style of Propaganda Film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 발행기관
- 한국영화학회
- 저자명
- 문재철
- 간행물 정보
- 『영화연구』제30호, 81~100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6.12.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style of propaganda Film made by Chosun Film Making Company, ‘Chosunyoungwhazooshikwheosa (朝鮮映畵株式會社)’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Japanese Government controlled film production and distribution to agitate Chosun people. But these propaganda film were different from general propaganda films. These films show special characteristic style and feature, for example, they were based on genre form and focused on private relation. Above all emotion and affection is dominant element in these film. This emotion is full of female mood and lyricism, and various device and image were used to express this emotion. Especially local spectacle was prominent. directed by Paik Ki Chae is a typical film. This film is melodrama that focus on lonely emotion of a woman. As a result this film looks like a simple melodrama. Somebody may argue that these distinguishing marks are evidence of non-ideological. But we identify ideological practise in this feeling structure.
목차
1. 시작하며
2. 국책영화의 몇 가지 특이성과 그 의미
3. 신체와 풍경을 이용한 감정의 표현
4. 희생과 달콤한 비애감, 그리고 국책영화
5. 마치면서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내셔널 시네마의 유통과 ‘작가’ 감독의 브랜드화에 대한 비판적 성찰
- 일제말기 국책영화의 스타일에 대한 일 연구
- 북한영화에서 드러나는 의식/사유, 도덕/윤리, 슬픔/기쁨의 갈등
- 상업미학의 관점에서 본 〈형사〉
- 사단법인 한국영화학회 정관 외
- 스탠리 큐브릭의 <아이즈 와이드 셧>의 신화적 해석
- 가족의 해체와 재구성
- 카메라를 버린 사람들
- 박스오피스
- 1950년대 후반기 신문소설의 각색과 멜로드라마의 분화
- 1960년대 남북한 정권의 정통성과 영화
- 활극배우로서 나운규의 민족정신과 영화 속 연인들의 상징에 대한 고찰
- 1970년대 『영상시대』 읽기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청소년기의 치료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을 적용한 디지털 디톡스(Digital Detox) 효과성 연구
-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Z세대 생활체육 동호인들의 SNS 중독 경향성과 불안정 성인애착이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즐거움과 몰입을 통한 수익성 기대가 NFT 구매 의도에 미치는 매개효과 분석: UTAUT2와 합리적 무관심(RI)을 중심으로
- 생태체험이 청소년의 자연친밀감, 환경태도, 환경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