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Canivalism of Lee Jun Ik's Movies
- 발행기관
- 한국영화학회
- 저자명
- 최배석
- 간행물 정보
- 『영화연구』제55호, 597~625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3.31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how the chief characteristics of Mikhail Bakhtin’s carnival theory are realized in Lee Jun Ik’s movies, , , , and , taking history as their subject matter and also what kind of new meaning the characteristics create for the audience. Dividing the main characteristics of Bakhtin’s carnival theory into four categories,this paper used them as the frame of reference for the analysis. First, according to the examination on and from the aspects of the carnivalization of war and the destruction and rollover of hierarchical order, they do carnivalization with the war itself as a gust of festival through the mechanism of satire and laughter and deconstruct the recognition on history, the fixed and lined-up formal culture. With this, the director builds a reversed carnival world and produces the world of freedom and equality. also shows the ‘delightful relativity’ of satire and laughter with the mask play and the square language and also the king’s degradation and the carnival characteristics of crowning and decrowning. Also, it has been discovered that , too, shows the decentration and deconstruction of carnivalism and conformity to the core value of revival and rehabilitation with the gaze at the world of hopes made by the negation of the oppressive ruling culture and the collision of human desire. Second, it has been found that from the aspects of square language and the destruction of formal speech codes, it acquires ambivalent value, that is, to secure freedom and equality through vulgar words, laughter, abuse,and insult over divinity or absolute power. Moreover, through the abuse,dialect, and the linguistic parody, it destroys formal speech codes, and also with the mechanism of laughter, it enhances the recognition on history and produces the multiphony of perception on reality. Third, from the aspects of distortion and grotesqueness of figures,either historical facts or figures were expressed in the forms of distortion,exaggeration, abasement, or satire. It is not about the character and image of a fixed figure in history but about the creation of a new figure, that is,the grotesque carnival characteristics of duplicity. In this way, it lays down the existing order of consciousness, and from various viewpoints, it provides another possibility to interpret the movie to see a new world. Fourth, it is about the aspects of historical satire and ideology. Watching historical films has the properties of projecting reality into them. All the films analyzed here have the ideology to provide previous value to the lives of grass-roots individuals rather than the value pursued by formal culture, that is, the macro-discourse value. depicts the futility of producing the mixed collision of human desire to propose the sight to criticize reality. As written above, Lee Jun Ik’s movies let us reflect on reality with the mirror of laughter. And it has been found that the film aesthetics letting us acquire ambivalent value conforms to Mikhail Bakhtin’s carnivalism
목차
1. 들어가며
2. 이론적 배경과 선행연구 검토
3. 이준익 영화의 카니발리즘
4. 나가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1920년대 초반 조선의 영화산업과 조선영화의 탄생
- <사랑방 손님과 어머니>의 각색과 3막구조 연구
- Early Silent Western Films: the establishment of the genre convention
- 통합예술교육과 STEAM(융합인재교육) 기반의 영화교육 교육과정 개발 필요성 연구
- 영화연기 고유성 측면에서 바라본할리우드 메소드 연기의 반작용
- <피에타>를 통해 본 몸의 사회학적 연구
- 한국영화에서 한국전쟁이 재현되는 변화과정에 관한 연구
- <도가니>(황동혁, 2011)와 <부러진 화살>(정지영, 2012)
- 영화와 기술 그리고 ‘사회적인 것’의 구성
- 한국 예술영화 담론의 흐름에 관한 연구
- 2000년대 한국 스릴러 영화의 모성 재현 연구
- 국제공동제작영화의 지원 정책과 현황 연구
- 변신모티브영화의 시각성
- 시뮬라시옹을 통해 본 <사랑을 카피하다>
- 자기조력적 영화치료와 상호작용적 영화치료의 효과 비교
- 영화연기의 내면성(內面性)에 관한 연구
- 관객으로서의 탈북자: 탈북의 자기표상과 영화 수용
- 영화연구 제55호 목차
- 독일 위생영화를 통해 본 조선 콜레라위생영화(1920)와 천연두위생영화(1922)의 특징과 한계
- 멜로 영화의 내적 리듬과 이미지에 관한 연구
- 이준익 영화의 카니발리즘 연구
- 윤봉춘 일기 연구
- 영화 <마더>에 나타난 수행적 모성 정체성에 관한 연구
- 2012년, 상호텍스트성의 어떤 경향
- 고레에다 히로카즈론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 디자인 전공 교과목에서의 생성형 AI 도구 활용 사례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한국영화의 촬영과 조명 시리즈 2: 영화 '형사, Duelist'의 Visual Concept 및 조명플랜
- 포스트모더니즘적 영상표현에 관한 연구 -실사 영화와 애니메이션 영화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 소니 HVR-Z1N 카메라의 중요한 메뉴에 관한 소고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