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Hirokazu Kore-eda: The Deepest and Continuous Concerns About the Contemporary Japanese Society
- 발행기관
- 한국영화학회
- 저자명
- 주진숙 박진희
- 간행물 정보
- 『영화연구』제55호, 543~569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3.31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For the director Kore-eda Hirokazu, making films would be a means for concerning the society and the times we live in. It is his world view,philosophy, ideology or values that affords fitting background for shaping his film world. This paper aims to explain how his world view and philosophy could be revealed throughout his films. Most papers regarding the early films of Kore-eda Hirokazu have dealt with metaphysical themes such as ‘death’ and ‘life,’ and the mise-en-scene that embodies the acts of remembering or condolences. They have their own limits in making sense the implicit meaning of the texts as the relationship between characters and plot. Accordingly they could easily ignore many contextual explanations. This paper tries to highlight that the films of Kore-eda Hirokazu could be explained as the results of the social commentaries which he has made as a documentary filmmaker. Especially his films has always been in contact with the concrete reality of Japanese society. And this comes from his personal viewpoints as the one who belongs to after-Zenkyoto generation,that is, otaku generation. For instance, the early films such as Maborosi and Distance display the lack of historical consciousness and express the sarcasm and rage against the Zenkyoto generation, presenting major characters who undergo the rupture of consciousness with the dead ones. Also, the films such as Nobody Knows, More Than Flower and Still Walking give symptomatic presentations of how the younger generation people attempt to tolerate the rage against the older ones. In the latest film, I Wish, Kore-eda Hirokazu makes inquiries about the possible unity between generations and family members, but it seems not feasible. The films of Kore-eda Hirokazu have a deep affinity with Japanese society and operate as a sensitive apparatus to reveal peculiarity of Japanese society. His world view becomes bleak and takes a turn for the worse.
목차
1. 들어가며: 2012년 겨울 일본의 풍경
2. ‘애도의 작가’, 그리고 ‘오즈’라는 굴레
3. 전공투 세대의 실패, 그리고 그 이후 세대의 자의식: <환상의 빛>, <디스턴스>
4. 분노를 어떻게 견딜 것인가: <아무도 모른다>, <하나>, <걸어도 걸어도>
5. 일본이라는 리얼리티: <진짜로 일어날지도 몰라, 기적>
6. 나오며: 일본이라는 ‘나쁜 장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1920년대 초반 조선의 영화산업과 조선영화의 탄생
- <사랑방 손님과 어머니>의 각색과 3막구조 연구
- Early Silent Western Films: the establishment of the genre convention
- 통합예술교육과 STEAM(융합인재교육) 기반의 영화교육 교육과정 개발 필요성 연구
- 영화연기 고유성 측면에서 바라본할리우드 메소드 연기의 반작용
- <피에타>를 통해 본 몸의 사회학적 연구
- 한국영화에서 한국전쟁이 재현되는 변화과정에 관한 연구
- <도가니>(황동혁, 2011)와 <부러진 화살>(정지영, 2012)
- 영화와 기술 그리고 ‘사회적인 것’의 구성
- 한국 예술영화 담론의 흐름에 관한 연구
- 2000년대 한국 스릴러 영화의 모성 재현 연구
- 국제공동제작영화의 지원 정책과 현황 연구
- 변신모티브영화의 시각성
- 시뮬라시옹을 통해 본 <사랑을 카피하다>
- 자기조력적 영화치료와 상호작용적 영화치료의 효과 비교
- 영화연기의 내면성(內面性)에 관한 연구
- 관객으로서의 탈북자: 탈북의 자기표상과 영화 수용
- 영화연구 제55호 목차
- 독일 위생영화를 통해 본 조선 콜레라위생영화(1920)와 천연두위생영화(1922)의 특징과 한계
- 멜로 영화의 내적 리듬과 이미지에 관한 연구
- 이준익 영화의 카니발리즘 연구
- 윤봉춘 일기 연구
- 영화 <마더>에 나타난 수행적 모성 정체성에 관한 연구
- 2012년, 상호텍스트성의 어떤 경향
- 고레에다 히로카즈론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 디자인 전공 교과목에서의 생성형 AI 도구 활용 사례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한국영화의 촬영과 조명 시리즈 2: 영화 '형사, Duelist'의 Visual Concept 및 조명플랜
- 포스트모더니즘적 영상표현에 관한 연구 -실사 영화와 애니메이션 영화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 소니 HVR-Z1N 카메라의 중요한 메뉴에 관한 소고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