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North Korean Defectors as the Audience: The Self-Representation of Defecting North Korea and Their Film Reception
- 발행기관
- 한국영화학회
- 저자명
- 오영숙
- 간행물 정보
- 『영화연구』제55호, 291~329쪽, 전체 39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3.31
7,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rimary subject of interest of this paper is the view and context of the North Korean defectors as an audience whom are viewing films representing themselves. Recent Korean films are paying much attention to topics such as diaspora, displacement, border crossing, nomadism and so forth. Parallel to such interest, attention given to the minorities has been unprecedentedly increasing lately and attention particularly devoted to those North Korean defectors have been growing most surprisingly. From Korean blockbuster or independent films to films directed by Korean-Chinese directors, the North Korean defectors’ experience is currently being represented in diverse formats. Recently, there have been films where North Korean defectors have actually participated in the production of the film themselves. Most importantly, the North Korean defectors seem to appear as people representing the extreme life as the other within the South Korean society playing a role serving to disclose the structural contradictions and loopholes of this society. Then how have the North Korean defectors themselves been responding to the representations of themselves produced on screen? And how can we understand the positions of North Korean defectors as an audience subject viewing themselves within films? What kind of implication does the representation of North Korean defectors in films have to themselves and then what function does the experience and memory play for accepting the film and personal meaning making? This article is also concerned with the way North Korean defectors themselves make meaning through texts in order to encourage themselves and their community group. For that reason, 10 North Korean defectors who have defected for non-political purposes and have less than 10 years of experience in South Korea were chosen for study. After watching films representing North Korean defectors, I have conducted a focus group discussion and 1: 1personal interviews. The primary purpose of this audience research was to approach the attitude and means of how North Korean defectors’themselves view him/herself and their status. In particular, I have tried to explain what role films play in formulating a minority identity, and how the perspectives surrounding cultural and social identities can be reconsidered or transformed within media talk. Also studied was the North Korean defectors’ friendly chat about the films possibly reflecting the limitation of ethics of the other within the South Korean society or the possibility of counter-publics against existing perspectives related to North Korean defectors.
목차
1. 들어가며
2. 관객으로서의 탈북자
3. 미디어 Talk
4. 스크린의 이편과 저편
4. 엑소더스의 신화와 타자의 윤리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1920년대 초반 조선의 영화산업과 조선영화의 탄생
- <사랑방 손님과 어머니>의 각색과 3막구조 연구
- Early Silent Western Films: the establishment of the genre convention
- 통합예술교육과 STEAM(융합인재교육) 기반의 영화교육 교육과정 개발 필요성 연구
- 영화연기 고유성 측면에서 바라본할리우드 메소드 연기의 반작용
- <피에타>를 통해 본 몸의 사회학적 연구
- 한국영화에서 한국전쟁이 재현되는 변화과정에 관한 연구
- <도가니>(황동혁, 2011)와 <부러진 화살>(정지영, 2012)
- 영화와 기술 그리고 ‘사회적인 것’의 구성
- 한국 예술영화 담론의 흐름에 관한 연구
- 2000년대 한국 스릴러 영화의 모성 재현 연구
- 국제공동제작영화의 지원 정책과 현황 연구
- 변신모티브영화의 시각성
- 시뮬라시옹을 통해 본 <사랑을 카피하다>
- 자기조력적 영화치료와 상호작용적 영화치료의 효과 비교
- 영화연기의 내면성(內面性)에 관한 연구
- 관객으로서의 탈북자: 탈북의 자기표상과 영화 수용
- 영화연구 제55호 목차
- 독일 위생영화를 통해 본 조선 콜레라위생영화(1920)와 천연두위생영화(1922)의 특징과 한계
- 멜로 영화의 내적 리듬과 이미지에 관한 연구
- 이준익 영화의 카니발리즘 연구
- 윤봉춘 일기 연구
- 영화 <마더>에 나타난 수행적 모성 정체성에 관한 연구
- 2012년, 상호텍스트성의 어떤 경향
- 고레에다 히로카즈론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 디자인 전공 교과목에서의 생성형 AI 도구 활용 사례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한국영화의 촬영과 조명 시리즈 2: 영화 '형사, Duelist'의 Visual Concept 및 조명플랜
- 포스트모더니즘적 영상표현에 관한 연구 -실사 영화와 애니메이션 영화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 소니 HVR-Z1N 카메라의 중요한 메뉴에 관한 소고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