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investigation into the principles of Method acting and the alternatives
- 발행기관
- 한국영화학회
- 저자명
- 조성덕
- 간행물 정보
- 『영화연구』제55호, 519~541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3.3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paper will concentrates on the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Method acting’ and ‘Non-method acting’ in terms of Hollywood film acting style. Hollywood film acting, or screen acting has been considered as a ‘emotional acting’ which was loosely based on so called ‘American Method acting’, which was created by American Film acting teacher Lee Strasberg. Because of his fame and his famous hollywood actors and actresses including Marlon Brando, James Dean and other many method acting Stars. However Lee Strasberg’s so called Method acting has been harshly criticized for its concentration on the ‘inner emotional acting’. In terms of ‘real traditional hollywood film acting’, this paper will also investigate the ‘physical film acting skills’, which can be defined as ‘Non-Method acting’. In fact, many hollywood traditional film stars did not use Method acting techniques. Even famous directors like John Ford criticized and pointed out the weakness and faults of American Method acting skill. While the Actors Studio became the leading flm acting institute in hollywood in terms of film acting teaching because of Strasberg’s famous film actors, most of traditional film actors like John Wayne or Humphrey Bogart did not trust at all any kinds of ‘Method acting’ but only their own but traditional, unique hollywood ‘physical film acting skills.’ In addition to the evolution of physical hollywood film acting techniques, we will also try to discover true essence of hollywood’s traditional screen acting skillsin this paper. Also this paper will deal with many practical but specific physical film acting skills like ‘Creating Pictures with actors’bodies’, ‘Standing still in the frame’ and other many practical skills used in Hollywood traditional genre films. In conclusion, the true aim of this paper is to analysis and investigate the real method of hollywood traditional film acting skills. In fact,nowadays most famous film acting skill and teaching books consist of many ‘physical film acting techniques’.
목차
1. 서론
2. 할리우드 신체연기술의 변화 : 무언극에서 정교한 제스추어 기술로
3. 할리우드 영화연기의 전통 : 장르연기술
4. 할리우드 영화연기의 전통적 신체연기술 : 프레임 속 ‘피사체’의 연기술
5. 메소드 연기의 제스추어 및 템포 기술 : 즉흥적 충동의 연기술
6. 결론 : 신체연기술 중심의 할리우드 영화연기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1920년대 초반 조선의 영화산업과 조선영화의 탄생
- <사랑방 손님과 어머니>의 각색과 3막구조 연구
- Early Silent Western Films: the establishment of the genre convention
- 통합예술교육과 STEAM(융합인재교육) 기반의 영화교육 교육과정 개발 필요성 연구
- 영화연기 고유성 측면에서 바라본할리우드 메소드 연기의 반작용
- <피에타>를 통해 본 몸의 사회학적 연구
- 한국영화에서 한국전쟁이 재현되는 변화과정에 관한 연구
- <도가니>(황동혁, 2011)와 <부러진 화살>(정지영, 2012)
- 영화와 기술 그리고 ‘사회적인 것’의 구성
- 한국 예술영화 담론의 흐름에 관한 연구
- 2000년대 한국 스릴러 영화의 모성 재현 연구
- 국제공동제작영화의 지원 정책과 현황 연구
- 변신모티브영화의 시각성
- 시뮬라시옹을 통해 본 <사랑을 카피하다>
- 자기조력적 영화치료와 상호작용적 영화치료의 효과 비교
- 영화연기의 내면성(內面性)에 관한 연구
- 관객으로서의 탈북자: 탈북의 자기표상과 영화 수용
- 영화연구 제55호 목차
- 독일 위생영화를 통해 본 조선 콜레라위생영화(1920)와 천연두위생영화(1922)의 특징과 한계
- 멜로 영화의 내적 리듬과 이미지에 관한 연구
- 이준익 영화의 카니발리즘 연구
- 윤봉춘 일기 연구
- 영화 <마더>에 나타난 수행적 모성 정체성에 관한 연구
- 2012년, 상호텍스트성의 어떤 경향
- 고레에다 히로카즈론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 디자인 전공 교과목에서의 생성형 AI 도구 활용 사례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한국영화의 촬영과 조명 시리즈 2: 영화 '형사, Duelist'의 Visual Concept 및 조명플랜
- 포스트모더니즘적 영상표현에 관한 연구 -실사 영화와 애니메이션 영화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 소니 HVR-Z1N 카메라의 중요한 메뉴에 관한 소고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