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Study on Development of Spatial Sound in Motion Pictures: Focusing on 《Gravity》
- 발행기관
- 한국영화학회
- 저자명
- 성재현 이민아
- 간행물 정보
- 『영화연구』제61호, 229~248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9.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Space in the film is expressed by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ofmeaning and furthermore space could be the reason in the presence of awork. space in the film plays a important roll of tasks in making up thearea of the screen image and sound over the visual space through soundconsists of auditory space. sound has its own screen compositiontechniques that generate an idea of adding space in space, as well as inthe surrounded existing through amalgamate a foe space to a visualimage. In production’s aspect, it is very important in sound configuration thatan ambience of stems in term of expressing film sound, makes people toconcentrate in storytelling. sound, the configuration of ambience is torelocate the two-dimensional space into the three dimensional space. thisreproduces the overall expression of images and realistic nature. there aremany kinds of sound system, however none of these are excludable. people may think all of these difference stem’s components arerecognized through psycho-acoustic system. although an ambience givesunderstanding of psycho-acoustic system, people can be disturbed if amain idea of configuration is different from the image. Many scenes in the film make the decisions by using the continuity of sound. discontinuity of scenes often happens in low budget featured films,or student films due to the different size of pictures and disharmony ofambience. In order to have the power of persuasion in spatial sound in the film,it is important to acquire the audience’s perception by efficient operationsystem, arrangement and design. this study was designed to discuss theambience in sound system. This paper is written to describe the sound system by stems. it willanalyze theories specifically for ambience and detail relationship betweenvisual and sound in the film .despite to other movies, has been praised for using whole new different realistic visual and soundeffect that people have never experienced in the field of cinematicspacious and it received sound award and sound editing award inAcademy Award 2013. has contributed a lot in the field ofambience analysis and this paper will talk about the technical and artisticparts of the research and discussions in the special sound.
목차
1. 서론
2. 본론
3.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영화의 해외시장 진출을 위한 콘텐츠 전략 연구
- 디지털 융합 환경에 따른 대학영화교육 패러다임의 변화에 대한 연구
- 식민지기 조선의 문화영화 개념 형성에 관한 연구
- Female Sexuality in Kim Ki-duk’s Moebius: Going Beyond Freud and Lacan
- 문학과 만나는 영화의 한 방식
- 영화제작의 리스크관리를 위한 스토리공학적 접근
- The Development of Chinese Film Industry in the Deng Era
- 영화 공간 사운드 제작연구
- 미래 영화관 개발의 대안 책으로서 <록키호러픽쳐쇼>의 영상과 퍼포먼스의 확대영화에 대한 논의
- 융합학문으로서의 ‘영화공학’의 학적 성립과 방향
- 영화연구 제61호 목차
- 디지털 특수효과로서 카메라 무브먼트(movement)에대한 고찰
- 신화적 모티브의 영화적 재구성에 관한 연구
- Wiederholte filmische Motive zur Erinnerung der Vergangenheit und ihre Bedeutung als kultursemiotischer Code im koreanischen Film
- 리좀적 탈주로써 ‘-되기’ 생성 연구
- 현실에 대한 저항과 전복, 민족의 정체성 탐구, 브라질의 시네마 누보(1955-1971)
- 철학과 물리학의 통섭적 시각으로 살펴본 영화 <마법사들>의 시⋅공간
- 1970∼80년대 민중문화운동과 한국영화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 디자인 전공 교과목에서의 생성형 AI 도구 활용 사례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한국영화의 촬영과 조명 시리즈 2: 영화 '형사, Duelist'의 Visual Concept 및 조명플랜
- 포스트모더니즘적 영상표현에 관한 연구 -실사 영화와 애니메이션 영화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 소니 HVR-Z1N 카메라의 중요한 메뉴에 관한 소고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