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Camera Movement as a Digital Special Effect
- 발행기관
- 한국영화학회
- 저자명
- 문재철
- 간행물 정보
- 『영화연구』제61호, 117~137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9.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article proposes that digital camera movement relates cinematicexperience to non-optical perception in a unique way. To do this, threeexample-, , <300> will be examined in eachdifferent three perspectives. Three topics are as follows: ballistic vision,non-material ghost, ‘picnolepsy’. Specially I would like to argue that howcamera movement cause trouble to Stephen Prince‘ perceptual realism. Digital camera is defined as a discoursive construct for understandingof moving image. The entity of the camera becomes not an apparatus ofmoving image capture but rather a spatially specific vanishing point ofperception and moving image frame. Usually, the flying sequence is supposed to offers a feeling of visualmastery of space. But it turn the visual regime based on seeing to feelingof being with movement. Because optical camera capture real object inthe world but digital camera creates the movement itself. Digital camera movement enable the cinema to shows non-real andnon-human vision by virtue of advanced technology. Digital cameraprovides a ghost-like eye and non-material movement which is free fromgravity and physical law. Close up is very prominent characteristic ofthese vision. It is possible that the cinematic experience go beyond visualperception to the haptic experience. Immaterial movement with close upshot could be interpreted as both attachment to ‘the Real’ and keepingdistance from it. Flamboyant effect of digital camera movement is thedigital zoom. The abrupt zooms give the shot a hyper-kinetic quality, aherky-jerky, spasmodic energy. To use virilio’ s term, it is like picnolepsy. To conclude, digital camera movement achieves more than merelyenhancing the film’s perceptual realism. It also reflects on wider questionabout how we engage with cinema and the nature of our experience ofthe visual and movement.
목차
1. 시작하며
2. 디지털 카메라 무브먼트에 대한 정의
3. 탄도적 무브먼트와 플라잉 무브먼트
4. 비물질적 고스트의 움직이는 눈
5. 디지털 주밍(zooming)
6. 마치며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영화의 해외시장 진출을 위한 콘텐츠 전략 연구
- 디지털 융합 환경에 따른 대학영화교육 패러다임의 변화에 대한 연구
- 식민지기 조선의 문화영화 개념 형성에 관한 연구
- Female Sexuality in Kim Ki-duk’s Moebius: Going Beyond Freud and Lacan
- 문학과 만나는 영화의 한 방식
- 영화제작의 리스크관리를 위한 스토리공학적 접근
- The Development of Chinese Film Industry in the Deng Era
- 영화 공간 사운드 제작연구
- 미래 영화관 개발의 대안 책으로서 <록키호러픽쳐쇼>의 영상과 퍼포먼스의 확대영화에 대한 논의
- 융합학문으로서의 ‘영화공학’의 학적 성립과 방향
- 영화연구 제61호 목차
- 디지털 특수효과로서 카메라 무브먼트(movement)에대한 고찰
- 신화적 모티브의 영화적 재구성에 관한 연구
- Wiederholte filmische Motive zur Erinnerung der Vergangenheit und ihre Bedeutung als kultursemiotischer Code im koreanischen Film
- 리좀적 탈주로써 ‘-되기’ 생성 연구
- 현실에 대한 저항과 전복, 민족의 정체성 탐구, 브라질의 시네마 누보(1955-1971)
- 철학과 물리학의 통섭적 시각으로 살펴본 영화 <마법사들>의 시⋅공간
- 1970∼80년대 민중문화운동과 한국영화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 디자인 전공 교과목에서의 생성형 AI 도구 활용 사례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한국영화의 촬영과 조명 시리즈 2: 영화 '형사, Duelist'의 Visual Concept 및 조명플랜
- 포스트모더니즘적 영상표현에 관한 연구 -실사 영화와 애니메이션 영화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 소니 HVR-Z1N 카메라의 중요한 메뉴에 관한 소고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