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Female Sexuality in Kim Ki-duk’s Moebius: Going Beyond Freud and Lacan
이용수 0
- 영문명
- <뫼비우스>속의 섹슈얼러티: 프로이트와 라캉을 넘어
- 발행기관
- 한국영화학회
- 저자명
- 박재영
- 간행물 정보
- 『영화연구』제61호, 165~182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9.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김기덕 감독의 <뫼비우스>는 섹슈얼러티와 페니스의 담론을 시각화한다. 지그문트 프로이트와 자크 라캉은 페니스/펠러스를 남성과 여성의 섹슈얼러티와 권력 구조를 결정하는 신체적, 이데올로기적 실체로 보았다. 프로이트는 「여성 섹슈얼러티」에서, 섹슈얼러티는 아이가 페니스의 존재또는 결여를 깨닫기 시작하면서 인식된다고 말한다. 여자아이들은 왜 자신에게는 페이스가 없는 지 혹은 어떻게 상실한 것인지에 대해 방황하는동안, 남자아이들은 어머니 사랑에 대한 대적으로 아버지를 보기 시작하고, 아버지가 자신을 거세할 지도 모른다는 두려움에 휩싸이는데, 이런인식이 바로 섹슈얼러티 형성의 기초라는 것이다. 프로이트의 이론을 확장시킨 라캉은 페니스를 섹스와 섹슈얼러티에 대한 이데올로기 조직의근간이 되는 ‘기호’로 보았다. <뫼비우스>는, 남편의 외도에 대한 단죄로아들의 페니스를 절단하는 어머니를 비롯해 모든 등장인물들을 성적 개체로 묘사함으로써, 프로이트와 라캉이 해석한 초자아와 성적 욕망 사이의 갈등을 실험적으로 보여준다. 본 논문에서는 이에 주안점을 두고 영화 속에 내포된 정신분석학 담론을 해체한다. 프로이트와 라캉 및 다른평자들이 말하는 페니스/펠러스의 개념을 이용해 영화에 등장하는 복잡한 인물들의 관계를 구체적으로 해석한다. 정신분석학적 렌즈를 들이대섹슈얼러티와 욕망의 관점에서 인물들의 관계가 상징하는 ‘기의’들을 살펴보고, 궁극적으로 이 영화가 현재 진행되고 있는 섹슈얼러티의 담론에어떤 의미를 주는 지 고찰한다.
영문 초록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영화의 해외시장 진출을 위한 콘텐츠 전략 연구
- 디지털 융합 환경에 따른 대학영화교육 패러다임의 변화에 대한 연구
- 식민지기 조선의 문화영화 개념 형성에 관한 연구
- Female Sexuality in Kim Ki-duk’s Moebius: Going Beyond Freud and Lacan
- 문학과 만나는 영화의 한 방식
- 영화제작의 리스크관리를 위한 스토리공학적 접근
- The Development of Chinese Film Industry in the Deng Era
- 영화 공간 사운드 제작연구
- 미래 영화관 개발의 대안 책으로서 <록키호러픽쳐쇼>의 영상과 퍼포먼스의 확대영화에 대한 논의
- 융합학문으로서의 ‘영화공학’의 학적 성립과 방향
- 영화연구 제61호 목차
- 디지털 특수효과로서 카메라 무브먼트(movement)에대한 고찰
- 신화적 모티브의 영화적 재구성에 관한 연구
- Wiederholte filmische Motive zur Erinnerung der Vergangenheit und ihre Bedeutung als kultursemiotischer Code im koreanischen Film
- 리좀적 탈주로써 ‘-되기’ 생성 연구
- 현실에 대한 저항과 전복, 민족의 정체성 탐구, 브라질의 시네마 누보(1955-1971)
- 철학과 물리학의 통섭적 시각으로 살펴본 영화 <마법사들>의 시⋅공간
- 1970∼80년대 민중문화운동과 한국영화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 디자인 전공 교과목에서의 생성형 AI 도구 활용 사례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한국영화의 촬영과 조명 시리즈 2: 영화 '형사, Duelist'의 Visual Concept 및 조명플랜
- 포스트모더니즘적 영상표현에 관한 연구 -실사 영화와 애니메이션 영화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 소니 HVR-Z1N 카메라의 중요한 메뉴에 관한 소고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