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디지털 아포리아

이용수  0

영문명
Digital Aporia: Spatialization of Memory in the Multimedia Works by Chris Marker
발행기관
한국영화학회
저자명
여금미
간행물 정보
『영화연구』제65호, 143~170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예술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9.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크리스 마르케르는 독창적 글쓰기와 다양한 형식실험으로 세계 영화사에서독보적인 영역을 구축한 선구적 작가로 평가된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설치작업 및 디지털 매체 기반의 영상작업 등 마르케르의 ’90년대 이후 작품들을 중심으로, 새로운 테크놀로지를 활용함으로써 영화의 영역을 확장하려 했던 그의 시도와 미학적 가치에 대해 고찰해보고자 한다. 이는 또한 디지털 이미지 시대 영상예술의 경향성 및 영화 매체의 새로운 패러다임에 대한 논의 확장을 목적으로한다. 작품세계 전반에 걸쳐 ‘기억’이라는 주제를 깊이 천착해온 마르케르는 멀티미디어를 적극 활용하여 독창적 영상작업을 지속했다. 멀티미디어를 통한 기억의재현에 있어 마르케르가 드러내는 영상미학의 특징을 파악하기 위해, 로이 애스콧의 아포리아와 싱크리티즘에 관한 사유에 근거하여 주관적 의식이 공간적으로재현되는 방식을 ‘통로와 미로’, ‘표면과 구역’, ‘비선형적 가상세계와 다중자아’ 라는 세 가지 측면으로 고찰한다. 이를 통해, 기술적 발전과 함께 탄생한 새롭고다양한 매체들을 적극 수용하고 자신의 방식으로 전유하면서 가변적 정체성과다층적 자아창조의 공간을 구축해온 양상 및 특징에 대해 살펴본다

영문 초록

Chris Marker has continued to explore the diverse media: film, video, photography, novel, video game, computer, internet, etc. New technologies allowed him to develop new forms of the representation of the memory. By the appropriation and the combination of different media, his cinematic works crossed the boundary of screen to be extended in the space. From the 90s, Chris Marker multiplies its multimedia installations such as Zapping Zone, Silent Movie, Owls at Noon Prelude: The Hollow Man, etc. This research aims to bring a new perspective on the encounter between cinema and multimedia, in analysing Marker’s installations, cd-rom, on-line musiums. Based on the concepts of aporia and syncretism, which are developed by Roy Ascott, we study the three kinds of the spatialization of memory: the passage, the surface, and the non-linear virtual world. We will study how Marker built the “zones” of memory in various media, in relation to the multiplicity of the identity of the cineaste who constantly sought new forms of audiovisual expression.

목차

1. 들어가며
2. 미디어의 경계 - 통로와 미로
3. 의식의 지형학 - 표면과 구역
4. 브리콜라주 - 비선형적 가상세계와 다중자아
5. 나가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여금미. (2015).디지털 아포리아. 영화연구, (), 143-170

MLA

여금미. "디지털 아포리아." 영화연구, (2015): 143-17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