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f Lee Phil-woo’s early activities
- 발행기관
- 한국영화학회
- 저자명
- 한상언
- 간행물 정보
- 『영화연구』제66호, 233~257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12.3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일제강점기 한국화사를 연구하는데 있어 이필우는 가장 중요하게 언급되는 인물 중 한명이다. 이기세의 연쇄극 <지기>의 촬을 맡음으로써 최초의 한국인 촬기사로 기록된 그는 1935년에는 한국 최초의 토오키 화인 <춘향전>의 녹 음을 담당하여 한국에서 토오키 화가 만들어지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담당했다. 이필우의 생애와 그 활동에 관해 언급하고 있는 연구물의 부분은 1968년 화사 연구자 이일이 인터뷰한 내용이 토가 되었다. 이일이 채록한 이필우 의 구술증언은 가공되지 않은 이필우 자신의 목소리로 이야기 하고 있다는 면에 서 중요하다. 그러나 머릿속에서 꺼낸, 실타래처럼 엉킨 기억을 역사 서술의 재료 로 이용할 때에 연구자는 그 사실을 증명해야 하는, 다시 말해 실증해야 할 의무 가 있다. 이필우의 증언을 이용하여 서술한 연구의 부분이 실증이라는 측면에 서 많은 문제점을 노출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는 단순히 시간 순서의 오류수준에 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가치 판단의 오류, 더 나아가 역사 서술의 오류로까지 발 전할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이일이 녹취한 이필우의 증언을 중심으로 이필우의 초기 행 적을 재구성해 보았다. 그 검토 상은 1. 보성학교와 도쿄의 금성중학 수학, 2. 일본의 촬소 생활, 3. 그 동안 중요하게 언급되지 않았던 통청년단의 순회상 활동, 4. 쇼치쿠 제작의 <석양의 촌>과 재차 도일, 5. 미국화 <동도>의 조선 에서의 흥행과 관청에서 의뢰한 화의 제작 등 1924년 <장화홍련전>의 촬을 맡기 이전까지의 행적을 조사했다. 이 조사를 통해 드러난 사실은 화인 이필우의 생애를 보다 정확하고 구체적 으로 밝혀낸다는 측면 외에 초기 한국화사 연구를 보다 풍부하게 하는데 도움 을 줄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In order to study Korean film history in Japanese colonial era, Lee Phil-woo is the one person that is the most important figures mentioned. By serving Lee Gi-se’s the kino drama shooting, he was recorded as the first Korean cinematographer. In 1935, he recorded Korea’s first talkie film , and he played a decisive role for making a talkie film in Korea. Lee Phil-woo’s interview with Lee Young-il, film history researcher in 1968 offered material for a research on his life and activities. Dictation testimony of Lee Phil-woo that Lee Young Il has accepted is important in terms of talking in Lee Phil-woo’s own voice that has not been processed. However, if researchers use someone’s memories as a material of historical narrative, researchers have a duty to prove that fact. Most studies which have used Lee Pil-woo’s testimony have many problems in terms of demonstration. These problems are not just time order error. It can be developed into error of value judgment, further historical narrative. In this paper, I tried to reconstruct Lee Pil-woo’s early activities mainly Lee Phil-woo’s testimony was recorded by Lee Young-il. The subjects of the study about school life at Posung Elementary School and Tokyo Kinjo Middle School, a studio life in Japan, The Tongyeong Youth Corps’s cyclic screening, Shochiku production , going Japan again, American film ’s success in Korea and the production of films commissioned by a government office. It is about Lee Phil-woo’s early activities before he shooted in 1924. The fact that it became clear through this survey can clearly put out the life of Lee Phil-woo. And it also can help to enrich the initial Korea film history research.
목차
1. 들어가며
2. 영화계 입문과 일본에서의 활동
3. 연쇄극 <지기>의 촬영 전후
4. 1923년 귀국 후 활동
5. 나오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프레테릭 와이즈먼(Frederick Wiseman)의 다큐멘터리영화방법론 고찰
- 구스틀로프호의 침몰에 대해 이야기하기
- 장률의 <경주>에 나타난 풍경 영상의 의미
- 영화관 서비스품질이 브랜드 이미지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부산국제영화제 체험마케팅이 브랜드자산과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앙리 베르누이(Henri Verneuil)의 자전 영화를 통해 본 아르메니아 제노사이드의 상흔과 디아스포라의 양상
- 최초의 카메라맨 이필우의 초기 활동 연구
- 1960년대 후반 ‘시네 에로티시즘’의 문화 정치적 의미
- 미야자키 하야오의 신도적 애니미즘 연구
- 영화연구 게재논문 투고, 심사(수정), 게재확정일 (한국영화학회 『영화연구』 66호) 외
- Renewing Found Footage Filmmaking with Digital Technologies: Ken Jacobs’s Recent Digital Films
- 영화연구 제66호 목차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영화 [올드보이]와 소포클레스 「오이디푸스 왕」의 상동성 연구
-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Z세대 생활체육 동호인들의 SNS 중독 경향성과 불안정 성인애착이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즐거움과 몰입을 통한 수익성 기대가 NFT 구매 의도에 미치는 매개효과 분석: UTAUT2와 합리적 무관심(RI)을 중심으로
- 생태체험이 청소년의 자연친밀감, 환경태도, 환경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