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Shinto Animism of Miyazaki Hayao: Focusing on My Neighbor Totoro, The Princess Mononoke, Spirited Away
- 발행기관
- 한국영화학회
- 저자명
- 조혜정
- 간행물 정보
- 『영화연구』제66호, 209~231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12.3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은 미야자키 하야오의 세 작품 <이웃집 토토로>(1988)와 <모 노노케 히메>(1997) 그리고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2001)을 일본신도 의 가미신앙적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작성되었다. 신도는 일본의 전통종 교로서 그들의 문화적 뿌리이자 생활습속이다. 그들의 삶에 있어 가미, 즉 신은 유일하거나 완전한 신이 아니라 다양하고 변덕스러우며 기괴하 기까지 한 존재이다. 일본의 신 가미는 신이(神異)적 존재로 묘사되는 경 우가 많으며 동물, 식물, 무생물에 이르기까지 신격이 부여된다. 녹나무 (<이웃집의 토토로>), 시시가미, 타타리가미(이상 <모노노케 히메>), 오 물신, 가오나시(이상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 등 가미들과 토토로, 고 다마, 마쿠로 쿠로스케 같은 정령이나 먼지검댕이에도 생명을 불어넣음 으로써 인간중심사고에서 벗어나 애니미즘에 닿아 있다. 미야자키 하야오의 작품세계는 보통 생태주의적 관점, 생명사상을 키 워드로 하여 분석된다. 이러한 관점은 미야자키 하야오의 세계, 특히 그 의 자연관을 설명하는 키워드로서 중요하지만, 일본인의 근원적 심상을 형성하는 신도적 애니미즘 가미신앙과의 관계는 조명되지 않았다. ‘일본 적 색채’가 두드러진 하야오의 세 작품(<이웃집 토토로> <모노노케 히 메>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에서 나타나는 가미신앙은 일본인의 근 원적 심상을 이해하는 데 필요할 뿐만 아니라 이것이 미야자키 하야오의 자연관을 형성하는 한 축임을 분석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단적인 예 가 바로 ‘신도의 숲’ 이다. 신도의 숲은 ‘그냥 식물의 집합이 아니라 숲이 정신적인 의미를 갖던 시절의 이미지’와 연관되어 있고, 그 곳은 ‘시시가 미’가 존재하는 바로 생명의 숲, 치유와 회복을 위한 힘의 근원으로서의 숲, 시원(태고)의 숲이었던 것이다. 따라서 하야오는 인간의 이기적인 욕 망에 의한 파괴에도 불구하고 생명을 키우고 존재케 하며 치유하는 숲을 작품의 주인공으로 내세운다. 하야오의 작품에서 숲은 가미와 정령들이 머무르는 신화적이고 신성한 공간으로 자리 잡는다. 이러한 작업은 조화로운 생태, 자연과 인간의 공존이라는 미야자키 하 야오의 원한 테마에 접근하는 방식으로 유효하다. 자연을 인간중심적 으로 바라보고 해석하는 것이 아니라, 자연에 한 존중을 통하여 자연 과 인간의 화해와 공존이 가능하다는 미야자키 하야오의 생각은 모든 물 체 안에 (靈)이 존재한다고 믿는 신도(神道)의 사상과 자연스럽게 만나 기 때문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three works of Miyazaki Hayao such as My Neighbor Totoro, Princess Mononoke and Spirited Away from a Kami-belief perspective of Japanese Shintoism. Shintoism is a folk religion of Japan and it is their cultural roots and the customs of their lifestyles. In their life, Kami(Japanese God) is not a single or complete god, but varies and they are fickle and even bizarre. Kami are frequently described as god-like and they exist as animals, plants and even inorganic materials. In addition to gods such as the tsukamori tree (My Neighbor Totoro), Sisikami the forest god and Tatarikami the disastrous (The Princess Mononoke), and Okusarekami and Kaonashi (Spirited Away), as well as spirits such as Totoro, Kodama and Makuro Kurosuke, as well as giving life to dust soot, make this go beyond being human-centered, and reaches animism. Miyazaki Hayao’s world is commonly analyzed from an ecological perspective using the keyword of idea of life. While this perspective is important as a keyword that explains Miyazaki Hayao’s world and especially his outlook on nature, the relationship with Shinto animism(Kami-belief) that forms the fundamental imagery of Japanese people has not yet been given attention. Kami-belief that appears in the three pieces of Hayao (My Neighbor Totoro, The Princess Mononoke, and Spirited Away) that shows ‘Japanese colors’ can help not only in understanding the fundamental imagery of Japanese people, but analysis showed that this was an axis that formulates Miyazaki Hayao’s outlook on nature. One example is the ‘Shintos’ Forest’. The Shintos’ Forest is associated with not only a group of plants, but ‘the image of a time when forests had a spiritual meaning’. This was the forest of life where the Forest God Sisikami existed, the forest that was the foundation for healing and recovery, and the forest of the beginning. Therefore, Hayao used the forest that made and healed life despite being destroyed by the selfish greed of humans as the main character of his works. In his works, forests are mythical and holy places where Kami and spirits live. Such work is an effective approach method for Miyazaki Hayao’s eternal theme of harmonious coexistence of the ecology, nature and humans. His belief that reconciliation and coexistence between nature and humans is possible through respect of nature rather than seeing and interpreting nature from a human-centered perspective naturally comes in touch with the Shintoism that says there are spirits in all things.
목차
1. 시작하는 글
2. 미야자키 하야오의 작품세계와 신도적 애니미즘
3. <이웃집 토토로>와 가미신앙
4. <모노노케 히메>와 원령신앙
5.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과 가미신앙
6. 맺는 글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프레테릭 와이즈먼(Frederick Wiseman)의 다큐멘터리영화방법론 고찰
- 구스틀로프호의 침몰에 대해 이야기하기
- 장률의 <경주>에 나타난 풍경 영상의 의미
- 영화관 서비스품질이 브랜드 이미지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부산국제영화제 체험마케팅이 브랜드자산과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앙리 베르누이(Henri Verneuil)의 자전 영화를 통해 본 아르메니아 제노사이드의 상흔과 디아스포라의 양상
- 최초의 카메라맨 이필우의 초기 활동 연구
- 1960년대 후반 ‘시네 에로티시즘’의 문화 정치적 의미
- 미야자키 하야오의 신도적 애니미즘 연구
- 영화연구 게재논문 투고, 심사(수정), 게재확정일 (한국영화학회 『영화연구』 66호) 외
- Renewing Found Footage Filmmaking with Digital Technologies: Ken Jacobs’s Recent Digital Films
- 영화연구 제66호 목차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영화 [올드보이]와 소포클레스 「오이디푸스 왕」의 상동성 연구
-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Z세대 생활체육 동호인들의 SNS 중독 경향성과 불안정 성인애착이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즐거움과 몰입을 통한 수익성 기대가 NFT 구매 의도에 미치는 매개효과 분석: UTAUT2와 합리적 무관심(RI)을 중심으로
- 생태체험이 청소년의 자연친밀감, 환경태도, 환경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