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Renewing Found Footage Filmmaking with Digital Technologies: Ken Jacobs’s Recent Digital Films

이용수  4

영문명
파운드 푸티지 화제작을 디지털 기술로 갱신하기: 켄 제이콥스(Ken Jacobs)의 최근 디지털 화
발행기관
한국영화학회
저자명
김지훈
간행물 정보
『영화연구』제66호, 33~70쪽, 전체 38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예술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12.31
7,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2000년 이후 디지털 비디오로 제작된 켄 제이콥스의 장 단편 화들을 두 가지 관점에서 논의한다. 첫째, 본 논문은 제이콥스가 자신의 셀룰로이드‐기반 습득상 화제작을 디지털 편집의 역으로 연장하면서 이미지의 기법적, 미학적 혼종성들을 낳는 과정을 다룬다. 제 이콥스는 자신이 1905년 무성화의 푸티지를 급진적으로 변형시켜 그 물질적, 기법적, 미학적 차원들을 조사한 습득상 화의 기념비적 작품 인 <톰, 톰, 파이퍼의 아들 (Tom, Tom, the Piper’s Son, 1969)>을 디지털 편집으로 리메이크한 <범죄 현장으로의 귀환 (Return to the Scene of the Crime, 2008)>과 <애너글리프 톰 (Anaglyph Tom (Tom with the Puffy Cheeks), 2008)>을 제작했다. 본 논문은 제이콥스가 <톰, 톰, 파이퍼의 아 들>에서 고안한 분석적이고 해체적인 기법들을 디지털 편집 기법들로 연 장하는 시도들을 분석한다. 이를 통해 본 논문은 이러한 디지털 기법들 이 화사 초기의 잃어버린 화적 상들에 기입된 물질적, 기법적 흔 적들을 발견하려는 습득상 화제작의 역사의식에 기여한다는 점을 주 장한다. 둘째, 본 논문은 제이콥스의 디지털 비디오가 회화와 화, 그리 고 그가 1960년 후반부터 고안한 프로젝션 퍼포먼스인 “신경시스템 (Nervous System)”과의 상호미디어적인 관계에 근거한다는 점을 논의한 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제이콥스의 디지털 단편 <자본주의: 아동노동 (Capitalism: Child Labor, 2007)>에서 그가 19세기의 입체상 사진을 조작하는 방식들이 사진에 기입된 역사적 흔적들은 물론 사진과 화 사이 의 양가적인 관계를 조명하는 미디어 고고학적인 시도라는 점을 밝힌다. 이 두 계열의 분석을 통해 나는 제이콥스의 디지털 화가 오늘날의 습 득상 화제작에 갖는 보다 큰 함의를 주장한다. 즉 오늘날의 습득 상 화제작은 셀룰로이드 의 물질성과 기법들을 고수하는 것 이상으로 뉴 미디어와의 조우를 통해 자신의 전통적인 미학과 기법, 존재하는 화에 한 분석적이고 해체적인 접근들, 그리고 화의 과거에 한 메 타역사가적인 참여를 확장하고 갱신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discusses Ken Jacobs’s short and feature‐length films made with digital video since the 2000s from two perspectives. First, I investigate the ways in which Jacobs extends his celluloid‐based found footage filmmaking to the realm of digital editing in those films while also resulting in the technical and aesthetic hybridities of their images. By examining Return to the Scene of the Crime (2008) and Anaglyph Tom (Tom with the Puffy Cheeks) (2008), two digital remakes of his Tom, Tom, the Piper’s Son (1969) as a landmark found footage film based upon a variety of techniques to transform the footage of a 1905 silent film of the same title and thereby to unveil its material, technical, and aesthetic dimensions, this paper argues that Jacobs’s translation of his analytical and deconstructive special effects deployed in his original Tom, Tom in digital editing techniques serves for the historical consciousness of found footage filmmaking, which drives its filmmakers to engage with lost cinematic objects from the early history of cinema to discover their material and technical traces in the present. Second, this paper also examines the ways in which Jacobs’s embrace of digital video for reworking existing films and photographic images in the past relates to his intermedial translation of one art to another―for instance, from painting to cinema, or from his idiosyncratic projection performance (called “Nervous System”) to single‐channel moving images. To this end, I investigate Jacobs’s Capitalism: Child Labor (2007) in terms of how his techniques of manipulating a stereoscopic photograph in the 19th century invite the viewer to see its underlying historical traces while also offering her a media‐archaeological perspective on the ambivalent relation of photographic stillness to the cinema. Consequently, Jacobs’s digital films suggest that today’s found footage filmmaking as a specific mode of experimental cinema renews and expands on its traditional assets―its key aesthetics and techniques, its analytical and deconstructive approaches to the existing film, and its metahistorical commitment to the past of cinema―through its encounter with new media.

목차

1. Introduction
2. Digital Remakes of Tom, Tom, the Piper’s Son
3. “Eternalism” Goes to the Digital
4. Conclusion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지훈. (2015).Renewing Found Footage Filmmaking with Digital Technologies: Ken Jacobs’s Recent Digital Films. 영화연구, (), 33-70

MLA

김지훈. "Renewing Found Footage Filmmaking with Digital Technologies: Ken Jacobs’s Recent Digital Films." 영화연구, (2015): 33-7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