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Park Hak’s Life and film activities
- 발행기관
- 한국영화학회
- 저자명
- 한상언
- 간행물 정보
- 『영화연구』제69호, 227~252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9.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논문은 1948년 월북하여 그 생애와 활동 내역이 잘 알려져 있지 않은 영화인 박학에 관한 연구이다. 이 논문에서 본 연구자는 박학의 삶과 그의 영화 활동에 관한 내역을 크게 네시기로 나누어 살폈다. 첫 번째 시기는 일본 내에서 조선어연극운동 시기, 두 번째 시기는 해방 전까지 연극, 영화 활동 시기, 세 번째는 해방부터 월북 시까지진보적 연극운동시기, 네 번째는 월북 이후의 시기이다. 네 개로 나누어 살핀 박학의 삶을 통해 확인 한 것은 박학의 행적이 1930년대중반 이후 조선연극인들의 진보적 연극운동의 궤적과 일치하고 있다는 점이다. 도쿄의 조선예술좌에서 시작되어 해방 후 예술극장으로 이어지는 월북 직전까지그의 연극 활동은 소위 “예술극장운동”이라고 부를 수 있을 정도로 “진보적 민족연극 수립”을 위한 노력의 과정이었다. 이러한 연극배우로써의 행적과는 달리 월북이후의 활동은 주로 영화를 통해이루어졌다. 북한 최초의 극영화 <내고향>에 출연한 이후 1960년까지 많은 수의영화에서 주역을 맡았던 그는 1961년 <분계선 마을에서>를 시작으로 영화 연출가로 전향하여 <꽃파는 처녀>를 비롯해 1960∼70년대 북한의 대표적인 작품들을연출했다. 그가 배우에서 연출가로 성공한 이유 중 하나는 무대배우로써의 경험과 영화배우로써의 경험이 북한에서 이루어지고 있던 무대극을 영화로 만드는 작업에유리하게 작용했던 것으로 보인다.
영문 초록
This paper is the study about Park Hak’s life and his film activities which are not well known. Because he defected to North Korea in 1948. In this paper, I examined roughly divided into four periods the contents on his life and film activities. The first time is when the Korean language theater movement in Japan, the second time, the theater, film activities until the liberation. Third time is when the progressive theater movement after the liberation to the defection to North Korea. And fourth time is about after the defection to North Korea. It was confirmed through Park Hak’s life, his whereabouts was consistent with the trajectory of the progressive theater movement since the mid-1930s. His theatrical activities which were started from Chosunyesulchua in Tokyo to an art theater after the liberation until shortly before his defection to North Korea, was a process of so-called efforts to “develop progressive national theater”, “theater artistic movement” enough to be called. Unlike these acts as a stage actor, after his defection to North Korea, his activities mainly took place through the film. After starring in North Korea’s first feature film , until 1960, he played a leading role in many movies. He turned to film director beginning with In 1961. he directed the North Korean representative works of North Korea 1960s and 1970s including . One of the reasons he was successful as a director seems his experience as a stage actor and actor in a film. His experience affected his film work advantageously.
목차
1. 서론
2. 박학의 연극, 영화 활동
3. 박학의 연극, 영화 활동의 특징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영화 [올드보이]와 소포클레스 「오이디푸스 왕」의 상동성 연구
-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Z세대 생활체육 동호인들의 SNS 중독 경향성과 불안정 성인애착이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즐거움과 몰입을 통한 수익성 기대가 NFT 구매 의도에 미치는 매개효과 분석: UTAUT2와 합리적 무관심(RI)을 중심으로
- 생태체험이 청소년의 자연친밀감, 환경태도, 환경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