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and Evolution of Daejeongkwan
- 발행기관
- 한국영화학회
- 저자명
- 한상언
- 간행물 정보
- 『영화연구』제70호, 163~188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12.3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대정관은 1912년 설립되어 1935년 폐관된 무성영화시대 경성의 일본인 영화관을 대표하는 장소이다. 1910년 조선이 일본의 식민지로 전락하자 조선의 영화산업은 조선에 거주하던 일본인 흥행업자들에 의해 장악되었다. 이중 대정관을 설립한 닛다 고이치는 1910년대 조선의 흥행업을 주도하던 대표적인 인물이었으며 대정관은 닛다 고이치 이후 닛다 고이치의 형제들과 이후 후쿠자키 하마노스케 등이 운영했다. 이 논문은 무성영화시대 영화관의 모습과 운영에 대한 일반적인 내용을 포함하여 일본 최대의 영화회사인 닛카츠의 조선대리점으로 조선의 영화흥행업을 주도하였던 대정관과 대정관을 설립하고 운영했던 닛다 형제들, 그리고 폐관 당시영화관을 운영하던 후쿠자키 하마노스케 등이 일본 내의 영화회사들과 어떠한관계를 맺었는지 살펴보고 무성영화시대 조선의 일본인 영화관과 일본 내의 영화회사들이 조선을 일본영화의 소비지로 이용했음을 밝히고 있다. 이를 통해 조선의 영화산업이 형성 초기부터 식민지적 특성을 배태하고 있었음을 확인 할 수있다.
영문 초록
Established in 1912 and closed in 1935, Daejeongkwan is the place to represent the Japanese cinema of Kyungsung in the silent picture days. When Joseon became a Japanese colony in 1910, the Joseon film industry was dominated by Japanese merchants who lived in Joseon. Nitta Koichi who established Daejeongkwan was a representative person who led the Joseon entertainment industry of the 1910s. After the operation of Nitta Koichi, Daejeongkwan was run by brothers of Nitta Koichi and Fukuzaki Hamanosuke. This paper contains the appearance and management of the movie theater in the silent picture days and searches if brothers of Nitta Koichi and Fukuzaki Hamanosuke have made a relationship with a Japanese movie company. In silent films era, Japanese cinemas in Joseon and Japanese movie companies use Joseon as a consumer of Japanese movies. As can be seen from the case of the Japanese cinema represented by Daejeongkwan, the Joseon film industry had colonial characteristics limited to the empire ‘s consumption area from the beginning of the formation.
목차
1. 들어가며
2. 무성영화시대 경성의 영화관
3. 대정관의 설립과 닛다연예부
4. 운영주체의 변화와 대정관의 폐관
5.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청소년기의 치료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을 적용한 디지털 디톡스(Digital Detox) 효과성 연구
-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Z세대 생활체육 동호인들의 SNS 중독 경향성과 불안정 성인애착이 완벽주의적 자기제시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즐거움과 몰입을 통한 수익성 기대가 NFT 구매 의도에 미치는 매개효과 분석: UTAUT2와 합리적 무관심(RI)을 중심으로
- 생태체험이 청소년의 자연친밀감, 환경태도, 환경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