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Predaciousness of the Virus: the Parasites in the Host and the Flu
- 발행기관
- 한국영화학회
- 저자명
- 이윤종
- 간행물 정보
- 『영화연구』제87호, 253~288쪽, 전체 36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3.31
7,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고는 코로나 19의 재난 속에서 바이러스 감염을 다룬 한국 재난영화들을 역추적하며 바이러스의 ‘살육성’을 고찰해 보고자 한다. 봉준호 감독의 2006년작<괴물>과 김성수 감독의 2013년작 <감기>는 눈에 보이지 않는 미세한 크기의 바이러스가 인간에게 발휘하는 포식성(predaciousness)을 기생생물에 의해 감염되거나 쫓기다가 대량으로 죽어가는 인간 군상을 통해 형상화한다. <감기>가 원인불명의 감기 바이러스 감염자들이 내뿜는 비말과 피를 통해 바이러스를 시각화한다면, <괴물>은 인간을 직접적으로 잡아먹는 괴생명체를 영화의 안타고니스트로 등장시킨다. 물론 <괴물>의 식인동물이 바이러스에 감염된 괴생물체인지 영화는확증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한강에 방류된 독극물에 의해 돌연변이화된 물고기한 마리가 생태계에 교란을 일으켜 그의 본래 먹이사슬의 단계를 역행해 인간에게 먹히는 것이 아니라 인간을 잡아먹는 존재가 되었다는 영화적 허구는 현실이될 수도 있는 하나의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인간이 초래한 지구환경의 변화, 즉 인류세(anthropocene)가 기후변화로 인한 자연재해 뿐 아니라 다양한 환경재난을 통해 고스란히 인류에게 되돌아오고 있다는 현실을 그리는 것이다. 본고는<괴물>과 <감기>를 통해 바이러스의 인간에 대한 포식성, 즉 살육성에 주목하여생태주의적 지평 속에서 이를 영화적 시각성과 함께 분석할 것이다.
영문 초록
Under the current Covid-19 disaster, this paper delves into the predaciousness of the virus by tracing back Korean disaster films dealing with the virus. Bong Joon-ho’s 2006 film The Host and Kim Sung-soo’s 2013 film The Flu portray the predatory power of an invisible, microscopic virus through the representation of how human beings infected by the virus collapse, suffer, and die. If The Flu visualizes the virus through the droplet and blood of the unidentified cold virus infected people spit, The Host features a monster that directly predates humans as an antagonist in the movie. Of course, the film does not confirm whether the man-eating monster is infected with the new virus. However, a fictional fish mutated by poison released into the Han River has disrupted the ecosystem in The Host when it becomes a human-eating creature instead of being eaten by humans by reversing its original food chain. This fictional circumstance implies the possible reality that human-induced changes in the global environment, the anthropocene, backfire on mankind through various environmental disasters as well as natural disasters caused by climate change. Analyzing The Host and The Flu in ecologist horizon, this paper will pay attention to how the two films cinematically visualize the predaciousness and parasitization of the virus.
목차
1. 들어가며
2. 인류세와 미시기생생물의 인간 대량살육
3. <괴물>과 <감기> 속 바이러스의 거시기생과 미시기생
4. 나가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영화는 경찰 부패를 어떻게 재현하는가: 정당화와 침묵의 서사 분석
- 알모도바르의 영화 <룸넥스트도어 The Room Next Door>를 통해 본 죽음의 사회적 드라마
- 안성기의 스타 페르소나 연구: 1980년대 영화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