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Post-tec hnologic al S igns R eproduced i n AI F ilms: Overproduced Oppression and Violence:
, , - 발행기관
- 한국영화학회
- 저자명
- 서의석
- 간행물 정보
- 『영화연구』제87호, 39~83쪽, 전체 45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3.31
8,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인간보다 더 인간적인 AI는 할리우드 공상과학 영화의 주된 주제로 등장한다. 인간이 기계가 되려는 욕망과 기계가 인간다움을 지향하는 이 두 주제를 관통하는 문제는 바로 인간이다. 현상적으로만 본다면 인간의 사이보그화와 AI 로봇이인간이 되려는 욕망은 서로 교차하는 다른 욕망 같지만 실상 이 둘은 하나라는것을 명심해야 한다. 그 공통된 질문이 향하는 곳은 인간은 무엇이며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라는 현실에 대한 보편적 화두를 상상적인 영역으로부터 빌려와 제시한다는 점이다. 영화 속 인공지능은 완벽한 기계로서 존재하지만 인간의 관점에서는 이성이 존재하지 않는 불완전한 존재가 된다. 그로 인해 인공지능은 완벽한 기계적 학습을 통해 자신의 불완전성을 해소하기 위해 자신의 창조주인 인간을 탐하는 것으로 묘사된다. 이에 영화 속 인공지능은 인간과의 교감을 통해 이성과 감성을 학습하게 되고 어느 순간 인간과 같은 존재로 여겨지도록 재현되어인간과 인공지능의 경계를 모호하게 만든다. 이는 영화 속에서 엉뚱하게도 계급의 전복을 통해 과잉 생산된 억압에 의해 폭력적 결과를 양산하는 것으로 재현된다. 이에 본고에서는 역설적으로 인공지능의 시점에서 인간적 사고를 탐하는 그들의 행위를 탈기술적 징후로 정의하여 인공지능이 인간을 모방하고자 하는 근본적인 이유에 대하여 인간이 갖는 과한 욕망이 원인이 될 수 있음을 심도 깊게파헤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e artificial Intelligence as known as ‘A.I’ is more human than humans, appears as the main theme of Hollywood science fiction films. Human being is the problem which penetrates two themes; The desire of human to be a machine and the point that machines aim for humanism. In terms of phenomena, human cyborgization and A.I robots to become human being seem to have different desires but it should be remembered that these two are actually aiming for same problem which is human. The common question is that it borrows and presents universal topics about the reality of what human beings are and the way of living. Artificial intelligence in the movie exis ts as a perfect machine, but from a human point of view, it becomes an incomplete existence. As a result, A.I is described as coveting its human creator to address their imperfections through perfect mechanical learning. Therefore, artificial intelligence in the movies learn intellect and sensibility through communication with humans. Eventually this makes machine to consider itself to be a human at some point blurring the boundaries between humans and artificial intelligence. This is repeated as the movie produces violent consequences by over-produced oppression through the subversion of the class. Thus this article defines the behavior of coveting human thinking at the poi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as a de-technical sign to delve deeply into the fact that human desire for the fundamental reason why artificial intelligence can be the cause.
목차
1. 들어가며
2. 특수문명에서 발생한 과잉된 욕망과 폭발, 그리고 희생양
3. 갈등의 재현: 자본주의의 희생양
4. 의식과 욕망의 억압 : 원본에 대한 결핍
5. 나오며 : 욕망에서 비롯된 타자화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영화는 경찰 부패를 어떻게 재현하는가: 정당화와 침묵의 서사 분석
- 알모도바르의 영화 <룸넥스트도어 The Room Next Door>를 통해 본 죽음의 사회적 드라마
- 안성기의 스타 페르소나 연구: 1980년대 영화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