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Colonization of Love, or the Love of Colonization: a Deconstructionist Approach to the Film A Simple Life
- 발행기관
- 한국영화학회
- 저자명
- 여신 임대근
- 간행물 정보
- 『영화연구』제87호, 153~181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3.31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해체론적 입장에서 영화 <심플 라이프>를 비판적으로 재고한다. 우선 영화의 주인공 ‘아타오’가 겪은 사회 구조적 불평등이 영화의 온정주의 서사에 의해 어떻게 은폐되었는지를 밝히고, 은폐의 심층 동기에 대해 질문한다. 또한영화의 핵심주제인 ‘주인과 하인 간의 휴머니즘적 인간애’와 모순되는 지점, 즉주종관계의 재현에서 드러나는 이원론적 세계관을 밝히고, 그것이 식민주의 이데올로기 내면화의 결과임을 주장한다. 마지막으로 <심플 라이프>를 비롯한 홍콩영화에 공통적으로 나타난 운명론적 세계관을 살펴보고, 그 원인을 홍콩의 식민지 역사와 내부 식민 현실에 있음을 주장한다. 이런 주장은 휴머니즘과 같은 지극히 자연스러워 보이는 정서적 울림이 갖는 이데올로기적 한계를 이해하는 데영감을 준다. 또한 영화가 세계를 어떻게 재현하고, 관객과 어떻게 상호작용하며지배 이데올로기를 반영하고 또 재생산하는지를 밝혀낼 실마리를 제공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critically re-examines the film A Simple Life from a deconstructionist perspective. The study first analyzes how the film’s compassionate narrative conceals the social and structural inequality experienced by the film’s main character ‘Ah Tao’, and questions the underlying motive for the concealment. The study then elucidates the dualistic worldview that is embodied in the reproduction of the master-servant relationship, which contradicts the film’s main theme of “humanistic love between the master and servant”, and argues that such a portrayal is the result of the internalization of a colonialist ideology. Finally, the study explores the fatalistic worldviews commonly present in Hong Kong films such as A Simple Life, and posits that such views are the consequence of Hong Kong’s colonial history and internal colonization. This study presents the implications related to forming an understanding of the ideological limitation that is inherent in a seemingly natural such as humanism. It also provides a number of clues to identifying the ways that films reinterpret the world, interact with the audience, and incorporate and reproduce the dominant ideology.
목차
1. 서론
2. 사랑의 포로
3. 사랑의 이원론
4. 행복한 결말의 은유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영화는 경찰 부패를 어떻게 재현하는가: 정당화와 침묵의 서사 분석
- 알모도바르의 영화 <룸넥스트도어 The Room Next Door>를 통해 본 죽음의 사회적 드라마
- 안성기의 스타 페르소나 연구: 1980년대 영화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