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Heterogeneity of Anti-Communist Films’ Representations before Film Law: Focusing on Image of Korea War
- 발행기관
- 한국영화학회
- 저자명
- 정승언
- 간행물 정보
- 『영화연구』제87호, 215~251쪽, 전체 37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3.31
7,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논문은 한국영화의 자장 안에서 끊임없이 표류하는 반공영화를 대상으로하여 한국전쟁 이미지가 어떠한 방식으로 표상되고 있는지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국 사회에 반공이데올로기라는 지배이데올로기가 정착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담당한 한국전쟁이라는 대사건에 집중하여 한국전쟁 발발 시점부터반공영화가 제도적으로 정착되기 이전인 영화법 제정 이전까지의 영화들을 분석대상으로 삼는다. 이 시기의 반공영화들은 소비주체인 관객과 상호작용하면서 장르로서 정착해 나가는 과정을 거쳐 가고 있었지만 이는 한국 영화문화 생태계 내의 자생적인 창발로 이루어진 것이 아니었으며, 당대의 관객들에 대한 요구를 수용하여 생성, 소비되거나 재생산된 오락물도 아니었다. 이러한 반공영화의 태생적인 불균질성은 반공을 국시로 내세웠던 당대의 이데올로기를 프레임으로 덧씌우는 과정에서 부정교합을 일으키며 영화 속 이미지 표상의 불균질성으로 관측된다. 하지만 이를 통해 반공영화는 우리에게 반공영화란 과연 무엇인지를 역설적으로 되묻는다는 점에서 여전히 현재진행형인 장르로 존재 가능한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image of Korean War is represented in anti-communist films continuously drifting in the field of the Korean film. It analyzes films produced from the outbreak of Korean War to before the Korean Film Law was enforced, in other words, before anti-communist films were institutionally established, by focusing on the Korean War, a bit accident critically triggering the establishment of the anti-communist ideology, a dominant ideology in the Korean society. Although the anti-communist films produced in that time underwent the process in which they were gradually established as a genre by interacting with customers, the consuming subjects of them, they did not autogenetically emerged in the Korean film culture ecosystem nor were films for amusement, consumed or reproduced by accepting contemporary audiences’ needs. Such original heterogeneity of anti-communist films is identified as that of images represented by the films, because contradiction occurs as they were framed by the anti-communist ideology, the contemporary national policy. Such anti-communist films can exist as the present progressive genre, in that they paradoxically ask again us what the anti-communist film is.
목차
1. 들어가면서
2. 반공영화 장르의 불균질성
3. 반공영화 속 전쟁 이미지 표상의 불균질성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영화는 경찰 부패를 어떻게 재현하는가: 정당화와 침묵의 서사 분석
- 알모도바르의 영화 <룸넥스트도어 The Room Next Door>를 통해 본 죽음의 사회적 드라마
- 안성기의 스타 페르소나 연구: 1980년대 영화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