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Reconsideration of Kurosawa Akira’s Humanism: Focusing on the ‘Presupposed Question’ and ‘Holy Fool’
- 발행기관
- 한국영화학회
- 저자명
- 김채희
- 간행물 정보
- 『영화연구』제94호, 207~236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들뢰즈는 구로사와 아키라 작품을 관통하는 핵심을 ‘전제된 질문’이라 칭했고, 이것이 바로 구로사와와 도스토옙스키의 연결점이며 그가 지닌 천재성의 근원이 라고 주장했다. 전제된 질문이란 구로사와의 예술 세계 앞에 놓인 일종의 철학적소여(所與. the given)로서 그의 영화 세계를 이끄는 힘이며 태도이다. 이와 관련해서 우리는 다음과 같은 구로사와의 발언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저는 작가로서 언제나 똑같은 사실 하나만을 말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것은 어째서 인간은 사이좋게 살 수 없는가, 좀 더 선의를 가지고 행동할 수 없는가 하는 것입니다.” 마스무라 야스조를 비롯한 많은 평자들은 “어째서 인간은 사이좋게 살 수 없는가?”라는 구로사와의 질문에 주목해서, 그의 작품을 관통하는 테마는 휴머니즘이라 주장했다. 그러나 들뢰즈는 휴머니즘 이전에 아키라의 전작(全作)이 질문의형태로 존재한다는 사실을 우리에게 상기시켰다. 구로사와는 인간 사이에 존재하는 불화와 반목을 해결할 수 있는 유일한 주제로 휴머니즘을 내세운 것이 아니라, 하나의 방법으로 제시한 것이고, 이 하나의 방법 역시 해답이 될 것이라 확신을갖지 못했다. 그러므로 여기서 주목할 점은 구로사와 영화의 휴머니즘적 주제가아니라, 그의 작품 이전에 존재하는, 즉 영화 전(前) 단계에서 제기되는 ‘질문’이다. 구로사와는 소여로서 주어진 이 질문에 끊임없이 응답하기 위해 대부분의 작품에 특정한 인물(백치 또는 바보)을 등장시킨다. 그는 백치와 같은 인물을 통해관객들이 타락한 이 세계를 제대로 바라볼 수 있도록 하고 싶었을 것이며, 이들이 가진 백치 속 ‘성자성(saintliness)’의 가치를 역설하고 싶었을 것이다. 본 논문은 구로사와 영화에서 찾아볼 수 있는 백치 캐릭터를 네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고, 그들이 어떤 방식으로 다양하게 변용되는지 살펴봄으로써 구로사와의 작품 속‘전제된 질문’의 의의를 추적한다. 이와 더불어 백치 캐릭터로 인해 가시화되는구로사와의 세계관을 통해 그 동안 그를 규정하던 한정된 시각에서 벗어나, 휴머니즘이라는 환원론으로 포착되지 못했던 관점을 고찰하고자 시도한다.
영문 초록
Gilles Deleuze called the core of Akira Kurosawa’s work a ‘presupposed question(données d’une question)’, and argued that this was the connection point between Kurosawa and Dostoevsky and the source of his genius. The presupposed question is a kind of philosophical given in front of Kurosawa’s art world, and it is the force and attitude that guides the world of Kurosawa’s film. In this regard, it is worth paying attention to Kurosawa’s remarks as follows. “As a director, I think I’m always telling the same one thing. That’s why humans can’t live together, and can’t act with more good intentions.” Many critics, including Yasuzo Masumura, paid attention to Kurosawa’s question, “Why can’t humans live together?”, and thought that the theme that runs through his work is humanism. However, Deleuze reminded us that before humanism, Akira’s all works existed in the form of questions. Kurosawa did not put up humanism as the only subject that could resolve the discord and antagonism that exists between humans, but presented it as a method, and he was also not convinced. Therefore, what Deleuze captures is not the subject of Kurosawa’s film, but a question raised before the work. In order to constantly answer the question as ‘Philosophical Given’, Kurosawa introduces a specific character (idiot or fool) in most of his works. He would have wanted the audience to see this fallen world properly through a character like an idiot, and he would have wanted to emphasize the value of the ‘saint’ in the idiot. This thesis classifies the idiot characters found in Kurosawa’s films into four types and traces the significance of ‘presupposed questions’ in his works by examining how they are variously transformed. Through the outlook of Kurosawa, which is visualized due to the idiot character, we break away from the limited viewpoint that defined him and suggest the perspective that could not be captured by the reductionism as humanism.
목차
1. 들어가며
2. 구로사와 아키라의 전제된 질문(données d’une question)
3. 바보성자(Юродивый)
4. 나가며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영화 [올드보이]와 소포클레스 「오이디푸스 왕」의 상동성 연구
-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