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Superhero as a Falling Figure: Based on the Character of Iron Man from Marvel Cinematic Universe
- 발행기관
- 한국영화학회
- 저자명
- 이도훈
- 간행물 정보
- 『영화연구』제94호, 31~65쪽, 전체 35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7,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2000년대 이후에 제작된 슈퍼히어로 영화에서 나타나는 추락의 시각적 그리고 서사적 전략을 아이언맨 캐릭터를 통해서 살펴본다. 그간 슈퍼히어로의 비행이 영웅의 당연한 자질로 이해되었던 것과 달리 슈퍼히어로의 추락은영웅의 실패나 좌절과 같은 부정적인 의미로 해석되었다. 그러나 최근 아이언맨을 포함한 여러 슈퍼히어로 영화는 영웅이 신체적, 심리적, 도덕적으로 성장하는과정을 그리기 위한 영화적 장치로 추락을 활용하고 있다. 아이언맨의 추락은 한 편으로는 시각적 볼거리를 통해서 관객의 흥미를 유발하기 위해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영웅이 시련과 모험을 통해 성장하는 이야기를 전개하기 위해 쓰인다. 아이언맨이 등장하는 여러 작품에서 추락의 원인은 다양하게 나타났다. 단기적인서사적 전략에 따라서 만들어진 <아이언맨>과 같은 작품에서 아이언맨은 신체적결함이나 기계적 결함으로 인해 추락하지만, 그는 완벽한 비행 능력을 획득하여공동체에 헌신하는 영웅으로 거듭난다. 이와 달리 장기적인 서사적 전략에 따라서 만들어진 <어벤져스> 시리즈에서 아이언맨은 개인적 불안과 집단적 공포로인해 추락을 경험하면서 공동체를 위해 자신이 무엇을 해야 할 것인가에 대해 고민한다. 이러한 이중의 전략 속에서 아이언맨의 추락은 9/11 이후 테러에 대한 공포로 무기력해진 개인과 집단의 심리적 상태를 묘사하기 위한 영화적 장치로 쓰였다. 이런 관점에서 보자면, 아이언맨이 등장하는 여러 작품은 2000년대 이후미국 사회에 드리운 추락이라는 상징적 공포를 극복하는 방법을 우회적으로 그린 경우라고 볼 수 있다.
영문 초록
Through the use of the Iron Man persona, this study analyzes the narrative and visual fall stratigies used in superhero movies made after the year 2000. The fall of a superhero was taken as a negative m eaning, such as a hero’s failure or frustration, in contrast to superhero flight, which has been understood as a natural feature of a hero. But recently, a number of superhero movies, notably Iron Man, have begun employing fall as a cinematic device to show how a hero matures physically, mentally, and morally. Iron Man’s fall is used both to entertain the audience with spectacle and to construct a narrative in which a hero matures through adversity and adventure. In several works featuring Iron Man, the causes of the fall were various. In case of Iron Man, Iron Man suffers setbacks due to mechanical or physical flaws, but after mastering the art of flight, he is resurrected as a community-devoted hero. Following this, Iron Man falls in the Avengers series as a result of his own concern and the community’s terror, and he considers what he can do to help. As a result, Iron Man’s fall was occasionally utilized in a single short-term work while being utilized in numerous long-term works. In this dual approach, the psychological state of people and groups that became lethargic because of fear of terrorism after 9/11 was depicted through the cinematic device of Iron Man’s fall. From this vantage point, a number of Iron Man-related works can be understood as indirectly depicting how to overcome the metaphorical fear of a fall that has pervaded American society since the 2000s.
목차
1. 들어가는 말
2. 슈퍼히어로 영화에서 나타나는 비행과 추락
3. 추락을 극복하는 영웅 : 신체적 결함 또는 기계적 결함의 극복
4. 불안을 극복하는 영웅 : 개인적 불안과 시대적 공포의 극복
5. 나가는 말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 도구와 디자이너의 협업 프로세스 개발 - 이미지를 통한 아이디어 확산에서 고해상도 렌더링까지
- 영화 [올드보이]와 소포클레스 「오이디푸스 왕」의 상동성 연구
- ‘일과 삶의 균형(Work-Life Balance)’ 척도 개발을 위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