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국가군사전략급 수준에서 북한 사이버 위협과 한국군의 대응방향
이용수 10
- 영문명
- direction for coping with cyber threats of the north korea in the level of national military strategy
- 발행기관
- 한국전략문제연구소
- 저자명
- 배달형
- 간행물 정보
- 『전략연구』통권 제52호, 147~174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7.31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고는 최근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는 북한의 사이버위협을 분석 및 평가하고, 국가군사전략급 수준에서 사이버위협의 대비태세와 관련된 핵심 이슈와 문제점을 식별하여 이에 대한 포괄적인 발전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우리 국가와 군이 북한의 사이버위협을 효과적으로 대비하고 이러한 능력을 구현하기 위한 제언으로서 우선 사이버전과 관련된 개념의 혼란과 혼동을 극복하여 위상을 명백히 하고, 둘째, 사이버위협의 대비태세에 대하여 국가 및 군사전략 개념에 대한 정책적 지침을 명확히 하며, 마지막으로, 사이버위협 대비 체제 발전방향과 군사작전의 효과적인 기획 및 실행 지원을 위한 작전지원조직의 발전 그리고 첨단 전문 인력의 획득/활용과 통합적인 능력 발전 등 사이버전위협 대비 능력 구현을 위한 발전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영문 초록
This paper analyzes and evaluates North Korea's cyber threat and discerns the core problems on readiness to handle cyber threats in the level of national military strategy, and suggests directions for development of solutions for such issues and problems. This paper proposes three suggestions for ROKAF to effective preparation against cyber threats from North Korea and to materialize such capability; first, the status should be cleared up by overcoming the confusion of concepts about cyber war; second, the guidelines of policy about national and system development directions of readiness toward cyber threat should be definitized; and finally, the paper presents directions of development for implementation of competence such as readiness systems on cyber threats, development of operational support organizations to prepare effective planning and execution for cyber warfare, acquisition of advanced knowledgable manpower for it and integrated development of competences for cyber warfare and so on.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북한의 사이버 위협 분석과 평가
Ⅲ. 사이버 위협 대비 정책 및 능력 발전방향
Ⅳ. 맺는 말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