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군의 군사우주전략

이용수  64

영문명
Military Space Strategy of the R.O.K. Forces: Toward Dispersal Warfare beyond Space Area Recognition
발행기관
한국전략문제연구소
저자명
손한별 이진기
간행물 정보
『전략연구』제29권 제3호(통권 제88호), 7~41쪽, 전체 3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11.30
7,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한국의 우주개발은 초보적인 수준에 머물러 있고, 우주력 역시 미약하다. 후발주자로서 국가안보를 위한 우주력을 키워나가기 위해서는 분명한 방향성과 우선순위를 제공하는 국가우주전략이 필요하며, 이를 군사력으로 뒷받침하기 위한 군사우주전략의 수립이 요구된다. 한국군의 우주역량을 고려할 때, 한국의 군사우주전략 목표는 단계화하여 추진해야 한다. 이에 맞추어 우주군사작전개념과 요구능력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필요가 있다. 첫 번째는 우주영역인식의 단계로 우주환경과 피아에 대한 정보능력에 기반한 감시정찰이 핵심 개념이다. 두 번째는 분산전의 단계로 분산배비 및 거부능력에 기반한 우주방어에 중점을 둔다. 세 번째는 비대칭전의 단계로 제한된 공격능력을 갖추어 적대세력에 대한 국지적, 일시적 우세를 달성한다. 본 연구는 이 같은 목표 달성을 위해, 총체적 국가 우주력의 일부로서의 국방우주력의 개발, 미래 합동군사전략과 연계, 전담 조직 및 제도 마련, 다각적인 국제협력 및 민군협력체계 구축, 전문인력의 확보 등 5가지의 전략과제를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Korea's space development remains at a rudimentary level, and its space power is also weak. In order to develop space power for national security as a latecomer, a national space strategy that provides clear directions and priorities is needed, and a military space strategy is required to support it with military power. Considering the Korean military's space capabilities, Korea's military space strategy goals should be phased out.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systematically manage the concept of space military operation and required capabilities. The first is the stage of space area recognition, and surveillance reconnaissance based on the space environment and information capabilities of enemies and allies is a key concept. The second is the pre-dispersion stage, and the emphasis is on space defense based on distributed stationing and denial capabilities. The third is the stage of asymmetric warfare, and it achieves a local and temporary advantage over hostile forces with limited attack capabilities. To achieve this goal, this study presents five strategic tasks: developing defense space capabilities as part of the overall national space force, linking with future joint military strategies, preparing exclusive organizations and systems, establishing multilateral international and civil-military cooperation systems, and securing professional manpower.

목차

Ⅰ. 배경과 필요성
Ⅱ. 우주력과 우주전략
Ⅲ. 한국의 군사우주전략 : 단계별 목표
Ⅳ. 단계별 우주작전개념과 요구능력
Ⅴ. 주요 전략과제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손한별,이진기. (2022).한국군의 군사우주전략. 전략연구, 29 (3), 7-41

MLA

손한별,이진기. "한국군의 군사우주전략." 전략연구, 29.3(2022): 7-4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