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User Perception and Communication in Fashion YouTube Content Types: A Focus on Comment Analysis
- 발행기관
- 충북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 저자명
- 안효선(Hyosunn An) 김지영(Jiyoung Kim)
- 간행물 정보
- 『생활과학연구논총』제27권 제3호, 33~51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Background/Objectives: This research has analyzed comments on YouTube channels on fashion to understand the most appeared topics that emerged from the channel users' communications.
Methods: 24,560 comments were analyzed using the Python 3.9 program. Unstructured text was processed for language detection using the KoNLPy library to extract nouns, verbs, and adjective forms of most and frequently used words. The study has categorized high-frequency vocabulary and conducted topic modeling analysis on comments on “Fashion styling,” Fashion know-how,” and “Fashion hauls” content types. The contents of comments that received a significant number of “likes” were analyzed based on different content types and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commenters and the YouTubers.
Results: The topic modeling results unveiled distinct themes within each type of fashion content. For Fashion styling,” 12 topics were identified, including expressions of gratitude, styling based on body types, purchasing fashion items, and dressing for occasions.“Fashion know-how” brought out ten topics, encompassing the ideas surrounding appreciation, color coordination, information about fashion items, and valuable tips regarding body types. In the “Fashion Haul,” content type, 8 topics were prominent: luxury proxy satisfaction, luxury style, and discussions about luxury items. Analysis of heavily engaged conunents predominantly revealed familiarity between the commenters and the YouTubers. The study have identified and examined a large number of interactions, consisting of one- way and both way communication between the fashion channel commenters and the channel content owners.
Conclusion/Implications: These YouTube channels are good platforms for engagmg communication, which more often sparks friendly vibes, fondness, and warmth between everyone engaged with these channels, including the channel content owners. In the texts surrounding “fashion styling,” specific and personalized information was found as most visible, while in “fashion know-how,” addressing channel user s' concerns and issues took precedence. For “fashion hauls,” aspects of proxy satisfaction and value-driven consumption were notable.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결과 및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패션 유튜브 콘텐츠 유형별 이용자 인식과 커뮤니케이션
- 동성애 가족에 대한 대학생의 태도 연구
- 한국인 20대 여성 표준체형을 바탕으로 한 상의 원형 패턴 비교 연구
- 가상현실(VR) 패션스토어 체험만족과 사용의도 예측
- 영구임대주택 ‘찾아가는 마이홈센터’의 지역사회자원 연계실태와 활성화 방안
- 산업용 전신 하네스 설계를 위한 치수 체계 제안
- 원장의 감성리더십이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넷플릭스와 아마존 사례연구에서 나타난 스트리밍 커머스의 편의성, 유희성, 상호작용성
- 근로자 노동소득에 대한 COVID-19 영향의 시도별 분석
- 유튜브 정보 및 정보원 특성이 소비자 만족에 미치는 영향
- 청년주거 지원 조례 비교 연구
- 피부각질세포에서 청심 맥문동 추출물의 케모카인 발현 억제효과
- 소비자의 구매행동 특성, 의사결정장애, 소비자혼란이 신기술제품 구매실패감에 미치는 영향
- 온도조절이 가능한 반려동물용 스마트 넥게이터 개발 연구
- 20~30대 직장 남성의 체면민감성이 화장품 구매성향에 미치는 영향
- 생활과학연구논총 제27권 제3호 목차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BEST
더보기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NEW
- 테크놀로지 활용 수업이 대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과 학습 몰입에 미치는 효과: 패션디자인학과 SW융합 수업을 중심으로
- 기혼근로자의 부부 공평성 인식이 출산의향에 미치는 영향과 결혼만족도의 매개효과
- 거주지역 및 주택유형에 따른 미취학아동가구의 주거환경만족도 차이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