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Comparative Study on the Housing Support Ordinances for Youths
- 발행기관
- 충북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 저자명
- 민기채(Kichae Min)
- 간행물 정보
- 『생활과학연구논총』제27권 제3호, 13~32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Background/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revision plans of the housing supporting ordinances for youths through comparison of local government ordinances in order to alleviate the serious housing problems.
Methods: By analyzing data from the National Law Information Center's autonomous law system, 11 metropolitan and local governments' ordinances related to housing for youths were compared. As an analytical framework for comparison of ordinances, five factors( the rights(purpose and ideology of the ordinance, the accountability of the local government heads), the universalism of allocation, comprehensiveness of benefits, financial responsibility of local government heads, accountability and integration of the delivery system) in content system of social welfare ordinance were used.
Results: Among the 11 local government ordinances, the Seoul ordinance was the most suitable for ideal content system of social welfare ordinance. The Seoul ordinance received high marks in terms of the rights, comprehensiveness of benefits, financial responsibility of local government heads, accountability and integration of the delivery system. But the legal binding force of the housing support ordinances for youths were very low compared to other social welfare ordinances.
Conclusion/Implications: Change to a 'basic' ordinance focusing on 'youth', new regulations on civil rights, new establishment of accountability for heads of local governments as an independent clause, change of meeting minimum housing standards to mandatory regulations, expansion of benefit comprehensiveness, introduction of the excavation subject and network for youths living less than minimum housing standards, were propos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결과 및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패션 유튜브 콘텐츠 유형별 이용자 인식과 커뮤니케이션
- 동성애 가족에 대한 대학생의 태도 연구
- 한국인 20대 여성 표준체형을 바탕으로 한 상의 원형 패턴 비교 연구
- 가상현실(VR) 패션스토어 체험만족과 사용의도 예측
- 영구임대주택 ‘찾아가는 마이홈센터’의 지역사회자원 연계실태와 활성화 방안
- 산업용 전신 하네스 설계를 위한 치수 체계 제안
- 원장의 감성리더십이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넷플릭스와 아마존 사례연구에서 나타난 스트리밍 커머스의 편의성, 유희성, 상호작용성
- 근로자 노동소득에 대한 COVID-19 영향의 시도별 분석
- 유튜브 정보 및 정보원 특성이 소비자 만족에 미치는 영향
- 청년주거 지원 조례 비교 연구
- 피부각질세포에서 청심 맥문동 추출물의 케모카인 발현 억제효과
- 소비자의 구매행동 특성, 의사결정장애, 소비자혼란이 신기술제품 구매실패감에 미치는 영향
- 온도조절이 가능한 반려동물용 스마트 넥게이터 개발 연구
- 20~30대 직장 남성의 체면민감성이 화장품 구매성향에 미치는 영향
- 생활과학연구논총 제27권 제3호 목차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BEST
더보기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NEW
- 테크놀로지 활용 수업이 대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과 학습 몰입에 미치는 효과: 패션디자인학과 SW융합 수업을 중심으로
- 기혼근로자의 부부 공평성 인식이 출산의향에 미치는 영향과 결혼만족도의 매개효과
- 거주지역 및 주택유형에 따른 미취학아동가구의 주거환경만족도 차이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