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s of Technology-Based Classes on College Students’ Digital Literacy Competency and Learning Engagement: Focusing on SW Convergence Classes in the Department of Fashion Design
- 발행기관
- 충북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 저자명
- 김소영(Soyoung Kim) 김지형(Gihyung Kim)
- 간행물 정보
- 『생활과학연구논총』제29권 제2호, 19~37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Background/Objectives: This study examined to examine the impact of a technologyintegrated software (SW) convergence course on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fashion design, focusing on learning engagement, learner interaction, and digital literacy. The research was conducted at a small- to medium-sized private university in South Korea, which has a growing interest in incorporating digital competencies into traditional design education.
Methods: The course was designed to integrate advanced ICT tools, including big data analysis, augmented reality (AR), virtual reality (VR), metaverse platforms, and AI-based image generation, within fashion education. Teaching methods were based on project-based learning and active learning strategies to promote student participation and collaboration. To measure changes in student outcomes, a pre- and post-test design was employ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paired-sample t-tests to determine statistical significance.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emotional engagement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the course. Digital literacy improved to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egree. However, although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ehavioral engagement, cognitive engagement, and learner interaction showed positive upward trends.
Conclusion/Implications: The findings suggest that incorporating ICT into fashion education can meaningfully enhance emotional engagement and digital literacy. Future studies should include larger and diverse samples, apply long-term evaluations, and adopt qualitative methods, such as interviews and portfolio reviews. Furthermore, customized strategies should address the educational needs of adult learners and international students in higher education.
영문 초록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결과 및 논의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테크놀로지 활용 수업이 대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과 학습 몰입에 미치는 효과: 패션디자인학과 SW융합 수업을 중심으로
- 기혼근로자의 부부 공평성 인식이 출산의향에 미치는 영향과 결혼만족도의 매개효과
- 거주지역 및 주택유형에 따른 미취학아동가구의 주거환경만족도 차이
- 자립준비 청년의 ‘아동복지시설 아동 치료·재활지원 사업’ 참여 경험에 대한 초점집단 인터뷰 연구: 사업 평가 및 개선방안을 중심으로
- 초기 청소년기 학대 경험이 또래애착에 미치는 영향에서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와 자아존중감의 횡단적 경로모형
- 생활과학연구논총 제29권 제2호 목차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BEST
더보기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NEW
- 테크놀로지 활용 수업이 대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과 학습 몰입에 미치는 효과: 패션디자인학과 SW융합 수업을 중심으로
- 기혼근로자의 부부 공평성 인식이 출산의향에 미치는 영향과 결혼만족도의 매개효과
- 거주지역 및 주택유형에 따른 미취학아동가구의 주거환경만족도 차이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