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Differences in Residential Environment Satisfaction of Households Raising Preschool Children by Residential Area and Structure Type
- 발행기관
- 충북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 저자명
- 황진아(Jin-A Hwang) 장은혜(Eun-Hye Jang) 이현정(Hyun-Jeong Lee)
- 간행물 정보
- 『생활과학연구논총』제29권 제2호, 39~53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Background/Objectives: This study provides basic information for residential environment planning for preschool children by identifying differences in residential environment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residential area and structure type of households raising preschool children (HPCs).
Methods: This study analyzed the Korea Housing Survey 2022 microdata and targeted HPCs with one or more members under the age of seven years. Eight items of residential environment satisfaction, closely related to the parenting environment of HPCs, were used as dependent variables. In the first stage of the analysis, the effect of residential areas and structure types on each item was analyzed. In the second stage, the difference in each item were explored according to the interaction between residential areas and structure types.
Results: Satisfaction with “ease of access to urban parks and green areas” and “pedestrian safety on surrounding roads” were the highest, while satisfaction with “ease of access to cultural facilities” was the lowest. Satisfaction with ease of access to commercial, medical and cultural facilities was highest in Seoul. HPCs in apartments showed higher residential environment satisfaction than those in non-apartments across all items. The difference in residential environment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interaction between residential area and structure type was significant in all eight items.
Conclusion/Implications: Based on the findings, application points were derived for each residential environment satisfaction item according to the residential area and structure type. To improve the ease of access to cultural facilities in non-Seoul areas, expanding new cultural facilities and the multi-use of existing public facilities were suggested.
영문 초록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결과 및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테크놀로지 활용 수업이 대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과 학습 몰입에 미치는 효과: 패션디자인학과 SW융합 수업을 중심으로
- 기혼근로자의 부부 공평성 인식이 출산의향에 미치는 영향과 결혼만족도의 매개효과
- 거주지역 및 주택유형에 따른 미취학아동가구의 주거환경만족도 차이
- 자립준비 청년의 ‘아동복지시설 아동 치료·재활지원 사업’ 참여 경험에 대한 초점집단 인터뷰 연구: 사업 평가 및 개선방안을 중심으로
- 초기 청소년기 학대 경험이 또래애착에 미치는 영향에서 내재화 및 외현화 문제와 자아존중감의 횡단적 경로모형
- 생활과학연구논총 제29권 제2호 목차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BEST
더보기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NEW
- 테크놀로지 활용 수업이 대학생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과 학습 몰입에 미치는 효과: 패션디자인학과 SW융합 수업을 중심으로
- 기혼근로자의 부부 공평성 인식이 출산의향에 미치는 영향과 결혼만족도의 매개효과
- 거주지역 및 주택유형에 따른 미취학아동가구의 주거환경만족도 차이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