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넷플릭스와 아마존 사례연구에서 나타난 스트리밍 커머스의 편의성, 유희성, 상호작용성
이용수 52
- 영문명
- Convenience, Playfulness, and Interactivity of Streaming Commerce Examined in Netflix and Amazon Case Studies
- 발행기관
- 충북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 저자명
- 유희정(Heejeong Yu) 심수인(Soo In Shim)
- 간행물 정보
- 『생활과학연구논총』제27권 제3호, 85~108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Background/Objectives: This study explores the intricate dynamics of convemence, playfulness, and interactivity of streaming commerce, as exemplified by the prominent platforms such as Netflix and Amazon. The study strategically examined two emblematic cases, namely, Netflix's “Get Organized with the Home Edit” and Amazon's “Making the Cut.”
Methods: Through a systematic approach based on Yin' s (2017) methodology, the study unfolded in three discernible stages according to established research protocols. Starting with a meticulous literature review, this study laid the groundwork for establishing propositions underpinning the essence of convenience, playfulness, and interactivity within s treaming commerce. Subsequently, to dissect the nuances of the selected cases, a meticulous case analysis was conducted, thereby providing a holistic understanding of their operational mechanisms. Finally, interpretations were drawn, juxtaposing the findi ngs with rival explanations to strengthen the robustness of the derived propositions.
Results: Both cases showcased a s trategic focus on elevating shopping convenience by leveraging multifaceted channels, effectively immersing consumers in engaging playful content, and employing compelling storytelling strategies to maintain las ting interest in the showcased products. Furthermore, this study emphasized these platforms' pivotal role in fostering greater interaction among consumers while fostering communal bonds. A critical aspect of this study was the meticulous consideration and subsequent dismissal of rival explanations that posited the cases as mere products of product placement or indirect advertising. This rigorous examination and rejection of alternative interpretations solidified the credibility and authenticity of the derived propositions.
Conclusion/Implications: This study enriches the field of streaming commerce by uncovering the key aspects of convenience, playfulness, and interactivity. Moreover, it establishes a robust methodology for future case studies and offers actionable insights to improve consumer engagement in streaming commerce.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결과 및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영구임대주택 ‘찾아가는 마이홈센터’의 지역사회자원 연계실태와 활성화 방안
- 피부각질세포에서 청심 맥문동 추출물의 케모카인 발현 억제효과
- 온도조절이 가능한 반려동물용 스마트 넥게이터 개발 연구
- 20~30대 직장 남성의 체면민감성이 화장품 구매성향에 미치는 영향
- 근로자 노동소득에 대한 COVID-19 영향의 시도별 분석
- 청년주거 지원 조례 비교 연구
- 생활과학연구논총 제27권 제3호 목차
- 넷플릭스와 아마존 사례연구에서 나타난 스트리밍 커머스의 편의성, 유희성, 상호작용성
- 가상현실(VR) 패션스토어 체험만족과 사용의도 예측
- 패션 유튜브 콘텐츠 유형별 이용자 인식과 커뮤니케이션
- 유튜브 정보 및 정보원 특성이 소비자 만족에 미치는 영향
- 소비자의 구매행동 특성, 의사결정장애, 소비자혼란이 신기술제품 구매실패감에 미치는 영향
- 동성애 가족에 대한 대학생의 태도 연구
- 한국인 20대 여성 표준체형을 바탕으로 한 상의 원형 패턴 비교 연구
- 원장의 감성리더십이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산업용 전신 하네스 설계를 위한 치수 체계 제안
참고문헌
관련논문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BEST
- 국내 커피전문점의 성공사례 분석
- 소셜 미디어 빅데이터를 활용한 한국인의 K푸드 트렌드 분석
-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 참여 경험이 교사-다문화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 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자연과학 > 생활/식품과학분야 NEW
- 교사의 놀이지원역량이 유아의 주도성에 미치는 영향: 유아의 놀이몰입의 매개효과
- 교사행복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 교수몰입과 교수창의성의 순차적 이중매개효과
- 국내 아동 정서행동문제 상담 연구에서 중재 충실도 적용 현황 및 과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