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증강현실기반 가상피팅 서비스 특징이 한국 소비자의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26
- 영문명
- The Effect of Augmented Reality-based Virtual Fitting Service Charateristics on Korean Consumer’s Intention to Use: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innovation
- 발행기관
-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예술디자인연구원
- 저자명
- 신은정(Eun jung Shin) 정민서(Min Seo Jung)
- 간행물 정보
- 『예술· 디자인학연구』Vol.26 No.2, 75~88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증강현실기반 가상피팅 서비스 특징이 한국 소비자의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데이터는 모바일 앱과 사이트와 같은 온라인 의류 제품을 구매한 대학생들의 설문지를 사용 하여 수집되었다. AR 가상피팅 서비스의 독립변수들로 실재성, 상호작용성, 편의성을 선정하였으며 혁신성을 조절변수로 최종적으로 사용의도를 종속변수로 선정하였다. 가설검증은 SPSS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였 으며, AR 가상피팅 시스템을 경험한 소비자들을 대상 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여 총 163부를 분석하였다. 첫째, 선행연구를 통하여 선정한 가상피팅의 특성들과 사용의도의 연관성을 분석한 결과, 실제로 옷을 입은 듯한 실재성, 사용자가 편하게 원하는 동작을 실행할수 있는 상호작용성, 사용자에게 얼마나 편하게 사용될 수 있는지를 뜻하는 편의성이 소비자의 가상피팅 서비스 사용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소비자의 혁신성향의 수준이 가상피팅 서비스의 특징이 소비자의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가에 대한 분석결과, 소비자의 혁신성향이 가상피팅 서비스 특징이 소비자의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조절에 유의미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실재성, 상호작용성, 편의성은 사용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혁신성 조절이 실재성, 상호작용성, 편의성과 상호작용함에 따라 사용의 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sults by empirical analysis to find out the effect of the augmented reality-based virtual fitting service characteristics on the use intention of Korean consumers. Data from the study were collected using questionnaires from most college students who purchased online clothing products such as mobile apps and sites.
Reality, interaction, and convenience were selected as independent variables of AR virtual fitting services, and innovation was finally selected as a regulatory variable and intention to use was finally selected as a dependent variable. The SPSS program was used for hypothesis verification, and a total of 163 respondents were used.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virtual fitting selected through previous studies and the intention to use it, it was found that the reality of actually wearing clothes, the interactivity that the user can conveniently execute the desired motion, and the convenience that means how comfortable it can be used by the user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onsumer's intention to use the virtual fitting service. Secon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whether the level of consumer's innovation propensity controls the effect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virtual fitting service on the consumer's intention to use, it was found that the innovation propensity of the consumer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control of the effect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virtual fitting service on the consumer's intention to use.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및 절차
4. 연구 결과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 시장 진출을 위한 해외 OTT 스트리밍 플랫폼 서비스 전략 연구
- 증강현실기반 가상피팅 서비스 특징이 한국 소비자의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 대학의 연구 역량 강화를 위한 예술디자인연구원의 역할 연구
- 학업스트레스를 가진 중국 유학생의 집단 타악기 연주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에르메스 아트 컬래버레이션 쇼윈도 디스플레이 표현 특성 연구
- 시각 장애인의 메타버스 접근 개선 가능성에 관한 연구
- 『예술·디자인학연구』 연구 동향 분석
- 뉴에이지 운동의 기원과 할리우드 영화의 상호 영향
- 중국 음악교사의 유학경험을 통한 자기통찰
- 조셉 로지 영화와 자연주의 영화에서의 충동 이미지
- 뮤지컬 <마이 페어 레이디>에 나타난 캐릭터 송의 기능과 효과
- 사회적 기업 패션제품과 프리미엄가격 지불의도의 영향요인 연구
- 기후변화시대 지역성장 기회요인의 사례분석과 시사점
- 개인적 특성과 제품 특성이 업사이클링 패션 제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예술·디자인학연구 Vol.26 No.2 목차
- 경희대학교 『예술ㆍ디자인연구원』 25주년 기념 역대 연구원장 기념사
- 중국 20대 전반 여성 체형 유형화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한 30대 미혼여성의 소마중심 표현예술치유 경험을 통한 자아정체성 형성에 관한 예술 기반 내러티브 탐구
- 미증유의 사회, 한국교육혁신을 위한 통섭적 접근으로의 인문예술은 왜 필요한가?-인문학을 연극과 무용으로 연결하기
- 미래 학교문화예술교육의 향방에 관한 논고- 무용 교육 매개인력 중심 논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