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조셉 로지 영화와 자연주의 영화에서의 충동 이미지
이용수 32
- 영문명
- Joseph Losey and Impulse Image in Naturalist Cinema
- 발행기관
-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예술디자인연구원
- 저자명
- 김정호(Jung Ho Kim)
- 간행물 정보
- 『예술· 디자인학연구』Vol.26 No.2, 41~49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예술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자연주의 영화는 충동 이미지를 담고 있다. 충동 이미 지는 원초적 세계 인간들의 기초적인 충동들에서 나온 다. 충동 이미지가 행동 이미지와 감화 이미지의 속성을 모두 지녀서, 자연주의는 원초적 세계/ 파생된 밀리우, 충동/ 행동양식의 4개의 좌표에 걸쳐져 있다. 들뢰즈는 영화에서 자연주의 감독으로 에리히 본 슈트로 하임, 루이스 브뉴엘, 조셉 로지를 들고 있다. 로지의 자연주의는 폭력, 포식자와 피식자, 노예근성, 페티쉬, 자기자신에 대한 역전, 구원, 원래적 세계와 파생된 밀리우를 동시에 담아내는 랜드스케이프 등의 특징을 보인다.
영문 초록
Naturalist cinema contain the Impulse Image. Since the I mpulse Image has the properties of Action Image and Af fection Image, Naturalism refers simultaneously to four c o-ordinates: Originary World/Derivied Milieu; Impulses/ Modes of Behavior. For Deleuze, There were three great masters of naturalism in cinema: Stroheim, Bunuel, and Losey. Losey’s naturalism is characterized by violence, pr edators and prey, Servility, fetish, reversal against the sel f, salvation, and a landscape that simultaneously captures the original world and the derived world.
목차
1. 서론
2. 이론적 고찰
3. 로지 영화의 자연주의적 특징
4.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 시장 진출을 위한 해외 OTT 스트리밍 플랫폼 서비스 전략 연구
- 증강현실기반 가상피팅 서비스 특징이 한국 소비자의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 대학의 연구 역량 강화를 위한 예술디자인연구원의 역할 연구
- 학업스트레스를 가진 중국 유학생의 집단 타악기 연주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에르메스 아트 컬래버레이션 쇼윈도 디스플레이 표현 특성 연구
- 시각 장애인의 메타버스 접근 개선 가능성에 관한 연구
- 『예술·디자인학연구』 연구 동향 분석
- 뉴에이지 운동의 기원과 할리우드 영화의 상호 영향
- 중국 음악교사의 유학경험을 통한 자기통찰
- 조셉 로지 영화와 자연주의 영화에서의 충동 이미지
- 뮤지컬 <마이 페어 레이디>에 나타난 캐릭터 송의 기능과 효과
- 사회적 기업 패션제품과 프리미엄가격 지불의도의 영향요인 연구
- 기후변화시대 지역성장 기회요인의 사례분석과 시사점
- 개인적 특성과 제품 특성이 업사이클링 패션 제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예술·디자인학연구 Vol.26 No.2 목차
- 경희대학교 『예술ㆍ디자인연구원』 25주년 기념 역대 연구원장 기념사
- 중국 20대 전반 여성 체형 유형화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BEST
- 생성형 AI가 가짜뉴스의 확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생성형 AI를 활용한 광고디자인 연구 - 광고디자인 요소에 따른 생성형 AI 영상광고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 패션 명품 브랜드에서의 마케팅 변화에 따른 메타버스를 활용한 사례 연구
예술체육 > 예술일반분야 NEW
- 한 30대 미혼여성의 소마중심 표현예술치유 경험을 통한 자아정체성 형성에 관한 예술 기반 내러티브 탐구
- 미증유의 사회, 한국교육혁신을 위한 통섭적 접근으로의 인문예술은 왜 필요한가?-인문학을 연극과 무용으로 연결하기
- 미래 학교문화예술교육의 향방에 관한 논고- 무용 교육 매개인력 중심 논의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