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읽기 장애 아동의 인지 과정 특성과 읽기와의 관계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Cognitive patterns of children with reading disabilities: A comparison between children with or without reading disabilities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김미경 안성우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7권 제2호, 1~16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06.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읽기 장애 아동들과 일반 아동들의 인지 과정 능력을 조사하고 읽기와 인지 과정 능력 간의 관계를 조사하는 것이 목적이다. 읽기 장애 아동 25명과 일반 아동 29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인지과정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된 검사 도구는 지능의 PASS 모델의 관점에서 개발된 인지사정체계의 하위 검사로서 연속적 처리 능력을 위해서는 단어 회상과 문장 반복하기 과제가, 동시적 처리능력을 위해서는 형태 기억과 동시적 언어, 그리고 주의 처리 능력을 위해서 표현적 주의와 수찾기 과제들이다. 인지사정체계의 하위 검사에서 읽기 장애 아동들과 일반 아동들 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연속적 처리 능력 지수와 동시적 처리 능력 지수 그리고 주의처리 능력 지수에서 읽기 장애 아동들의 수행력이 일반 아동들에 비해 더 열등하였다.
영문 초록
We investigated the hypothesis that children with reading disabilities will be poor in specific cognitive processes when tested with Cognitive Assessment System developed by Das and Naglieri(1997) based on the PASS(Planning, Attention, Simultaneous, Successive) theory of intelligence. 54 children with reading disabilities and normally achieving children between 8 years and 10years of age were divided into 4 groups according to their grade. All children were administered measures of attention, simultaneous and successive processes. Results confirmed the hypothesis. Children with reading disabilities performed poorly on the tasks of Expressive Attention, Number Detection, Verbal-Spatial Relations, Figure Memory, Word series, Sentence Repeti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초등학교 통합학급의 학급풍토와 공동체 의식 특성
- 특수교육 전공 대학생의 윤리적 가치관 연구
- 유아의 표상발달에 관한 연구
- 진단 범주로서 경도정신지체에 대한 타당성 고찰
- 초등학교 학습부진 및 학습장애 학생의 사회과 성취도 향상을 위한 정보기억전략 교수 효과
- 미래의 학습장애에 대한 대안으로서의 메타 인지
- 학습장애 아동의 귀인성향과 학습된 무력감의 관계
- 청각장애아동 부모의 청력상태에 따른 청각장애학생과의 의사소통양식 선호 성향
- 시각장애아동과 정안아동의 진로의식 성숙도 비교 연구
- 장애이해 프로그램이 일반 중학생의 장애학생에 대한 태도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 읽기 장애 아동의 인지 과정 특성과 읽기와의 관계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5권 12호 목차
- 생성형 AI 챗봇과 중학생의 영어 자유대화 학습경험 사례 분석
- 상담학 전공 학부생의 현직 아동상담사 인터뷰 과제 경험: CQR-M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