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장애이해 프로그램이 일반 중학생의 장애학생에 대한 태도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0

영문명
The Effects of a Disability-awareness Program on Enhancing Middle School Students' Self-esteem and Attitudes toward Students with Disabilities
발행기관
한국특수아동학회
저자명
이정란 김영일
간행물 정보
『특수아동교육연구』제7권 제2호, 1~24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5.06.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최근 일반 중학교에 특수학급이 증설되고 있다. 그러한 일반 중학교에서 장애학생의 통합교육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일반 중학생의 장애학생에 대한 태도가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본 연구는 장애이해 프로그램을 통해 일반 중학생의 장애학생에 대한 태도 및 자존감이 향상되는지 알아보는 것이 목적이었다. 연구대상은 G광역시 I중학교 2학년 2개 학급 학생 총 74명이었다. 연구설계는 학급을 단위로 실험 및 통제 집단에 각각 임의로 배치한 준실험설계였다. 장애이해 프로그램은 장애에 대한 정보제공, 장애인과의 직간접적 접촉, 장애체험 및 집단토의 등을 주요 요소로 하여 일반 중학교에서 실시할 수 있는 형태로 구성한 것이었다. 장애이해 프로그램은 2004년 4-7월 중 1주에 1회기씩 총 10주 실시했다. 일반 중학생의 장애학생에 대한 태도는 Voeltz(1980)의 수용성 척도와 Siperstein과 Gottlieb(1977)의 활동선호도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했으며, 자존감은 Rosenberg(1965)의 자아존중감 척도를 사용했다. 장애이해 프로그램은 일반 중학생들의 장애학생에 대한 수용성 및 활동선호도 증가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으며, 일반 중학생들의 자존감 고양에도 효과적이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disability-awareness program on enhancing middle school students' self-esteem and attitudes toward those with disabilities and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program in relation to the students' gender. Two eighth-grade classes at a middle school in G metropolitan city were randomly recruited and assigned either to the experimental group or to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a 10-week disability-awareness program from April 29 until July 15, 2004, 45 minutes per session and one session a week, in moral subject classes (four sessions) or creative activity classes (six sessions). The program, implemented by the researcher, addressed the topics such as unbiasing stereotypes about disabilities, terminology and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of disabilities, a case of an employed adult with autism, a society in which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those without disabilities live together, and etc. A teacher, who was not otherwise involved in the study, administered three measures to both groups. The Disability Acceptance Scale (Voeltz, 1980) and the Activity Preference Scale (Siperstein & Gottlieb, 1977) were used to measure two aspects of the participants' attitudes toward students with disabilities. Rosenberg's Self-esteem Scale was administered to assess the self-esteem of the participants. The analysis of covariance (ANCOVA) with the pretest as a covariate revealed that the disability-awareness program had significant effects on increasing the level of disability acceptance and activity preference, as well as selp-esteem,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This study implies that moral subject classes and creative activity classes can be used for implementing disability-awareness program with the aim of improving middle school students' attitudes toward disability and self-esteem.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정란,김영일. (2005).장애이해 프로그램이 일반 중학생의 장애학생에 대한 태도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특수아동교육연구, 7 (2), 1-24

MLA

이정란,김영일. "장애이해 프로그램이 일반 중학생의 장애학생에 대한 태도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특수아동교육연구, 7.2(2005): 1-2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