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적응행동기반 다중지능척도개발 및 타당화 연구

이용수  0

영문명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Validity of the Multiple Intelligence Scale Based on Adaptive Behaviors
발행기관
한국특수아동학회
저자명
장세영 김동일
간행물 정보
『특수아동교육연구』제20권 제2호, 227~248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6.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고등학교 지적장애학생을 대상으로 한 적응행동기반 다중지능척도를 개발하고 측정학적 적합성을 제시하는데 있다. 연구방법: 적응행동기반 다중지능척도의 조작적 정의를 도출하여 그를 기반으로 한 문항을 개발하였다. 8개의 다중지능 중 6개인 언어지능, 논리수학지능, 공간지능, 대인관계지능, 자기성찰지능, 신체운동지능이 측정 가능하였다. 총 75문항이 개발이 되었으며 이를 위하여 전국의 통합형 직업교육 거점학교에서 직업교육 프로그램을 참여하는 장애학생 343명을 대상으로 개발된 적응행동기반 다중지능척도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1) 적응행동기반 다중지능척도의 문항의 난이도와 변졀도는 전반적으로 적절한 수준으로 판단되었다. (2) 지능별 내적 일관성 계수는 .738~.826이며 전체 척도의 계수는 .957로 양호한 값을 보였다. (3)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상대적인 모형적합도 지수인 NFI, RFI, IFI, TLI, CFI가 .941∼.978로 매우 양호하게 나타났으며 절대적 모형 적합도 지수인 RMSEA는 .059로 매우 양호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상의 결과는 적응행동기반 다중지능척도가 고등학교 지적장애학생을 평가하고 교육함에 있어 기존의 지능지수가 가지는 정보보다 더 많은 정보를 제공할 수 있기에 유용한 자료로 활용 될 것이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multiple intelligence scale based on adaptive behaviors for high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to propose psychometric adequacy. Methods: Based on the operational definition of multiple intelligence scale based on adaptive behaviors, the study developed a question based on it. Six of the eight multiple intelligences were able to measure language intelligence, logical-mathematical intelligence, spatial intelligence, interpersonal intelligence, intrapersonal intelligence, and bodily-kinesthetic intelligence. A total of 75 items were developed. For this purpose, a multi - intelligence scale based on adaptive behaviors developed for 343 students with disabilities participating in vocational education programs in integrated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schools across the country was conducted. Results: (1) The degree of difficulty and discrimination of the items of the multiple intelligence scale based on adaptive behaviors were judged as appropriate overall. (2) The internal coherence factor by intelligence was .738 ~ .826, and the coefficient of overall scale was .957. (3) As result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relative model fit indices, NFI, RFI, IFI, TLI, and CFI, ranged from .941 to .978, and the absolute model fit index, RMSEA, was very good at .059. Conclus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ultiple intelligence scale based on adaptive behaviors could be used as a useful tool for evaluating and educating high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장세영,김동일. (2018).적응행동기반 다중지능척도개발 및 타당화 연구. 특수아동교육연구, 20 (2), 227-248

MLA

장세영,김동일. "적응행동기반 다중지능척도개발 및 타당화 연구." 특수아동교육연구, 20.2(2018): 227-24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