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장애학생의 수련·체험 활동 프로그램에 대한 특수교사와 학부모의 요구
이용수 0
- 영문명
- Demand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Parents for Development of Training and Experiential Activities Programs Targeting Students with Disabilities: Focusing on training activities, family camps and inclusive camps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정대영 하창완 양미희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7권 제3호, 95~123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9.30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경남지역 특수교사 505명과 학부모 314명을 대상으로 장애학생의 수련활동과 가족캠프, 통합캠프 프로그램의 운영 및 내용 구성에 대한 특수교사와 장애학생 학부모의 요구와 차이를 알아보고 개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로는 첫째, 수련활동 프로그램은 학기중에 1박 2일 숙박형 또는 일일 체험형을 주로 선호했으며 직업체험교육, 문화예술활동, 자기(인성)계발활동을 주요 프로그램으로 선택하는 것이 적절하다는 요구가 높았다. 둘째, 장애학생 가족캠프는 여름방학 기간 동안 1박 2일 체험형태로 진행하는 것이 좋다는 요구가 높았으며, 특히 부모와 형제자매 모두가 참여하여 가족캠프를 진행해야한다는 응답률이 가장 높았다. 프로그램 내용으로는 자기(인성)계발 활동, 직업체험, 환경 보존 등 일반학생 대상 수련 활동보다는 다양한 분야에 대한 체험 필요성의 요구를 나타냈다. 셋째, 장애학생 통합캠프의 경우 학기 중 실시를 가장 많이 요구하였으며, 우선 참가대상으로 초등학교 저학년을 선호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캠프 운영 기간으로는 ‘일일 체험형’ 또는 ‘1박 2일 체험형’이 적절한 것으로 확인되었고 주요 활동 내용으로는 ‘모험개척활동’과 ‘자기(인성)계발활동’ 영역 에 대한 응답률이 높았다.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경남지역의 장애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연구로서 연구 결과를 전국으로 일반화하는데 어려움이 있지만, 보편적 학습 설계를 적용한 장애학생 수련활동 뿐 아니라 가족캠프, 통합캠프를 포함한 종합적인 장애학생 수련․체험활동 프로그램 개발의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가 가지는 의의가 크다고 볼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conducted its research targeting 550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parent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living in Gyeongsangnam-do to understand their demands for training and experiential activities programs targeting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As a way to achieve the research goal, the study basically focused on operation and contents of the training activities, the family camp programs and the inclusive camp programs to know the relevant demands of the teachers and the parents and then, offered directions in the development. Findings of the research revealed that first of all, as for the training activities programs, the teachers and the parents prefer either the 2 days and 1 night activity or the whole day hands-on activity during the semester and, both of the groups claimed that the vocational experience education, the culture and arts activities and the self-development (personality and humanity development) activities should be carried out as the main programs. Second, according to the arguments of both of the teachers and the parents, it will be better if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family camps are held for 2 days and 1 night during the summer vacation. The winter vacation came up with only a relatively low response rate and, the greatest number of the teachers and the parents answered that the family camps which are participated by famili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disabilities, especially by their parents as well as siblings at the same time, should be organized as a priority. In regard to the contents of the programs, the study noticed higher levels of the demand rather for experience in diverse fields than for these training activities that would target general students such as the self-development (personality and humanity development) activities, the vocational experience, the environment preservation and others. Third, in case of the inclusive camps of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a majority of the teachers and the parents wanted the camps to be held during the semester and, the low grade elementary school was preferred as the most urgent participants. Not only that, the study confirmed that as for the camp operation period, either the ‘whole day hands-on activity’ or the ‘2 days and 1 night activity’ were considered most desirable and in terms of the main activity contents, the study observed the highest response rates from the ‘adventure and develop’ and the ‘self-development (personality and humanity development) activit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일반학급 교사가 인식한 장애학생 학교폭력 유형과 원인 분석
- 태블릿 PC 기반 자기결정교수학습모델(SDLMI) 중재가 초등학교 중도 지적장애 학생의 수업참여행동과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 국내 통합교육 효과 연구에 대한 메타 분석
- 자폐스펙트럼장애 학생의 읽기 교수에 대한 실태와 특수교사의 인식
- 통합학급 교사와 특수학급 교사가 인식하는 실천적 지식 내용에 대한 비교 연구
- 이중언어환경이 운율발달에 미치는 영향
- 자폐범주성아동과 또래간 감정을 나타내는 AAC 상징 인식 비교 연구
- ASD학생의 문제행동 중재 분석
- 자폐스펙트럼 중학생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 경험
- 장애학생의 수련·체험 활동 프로그램에 대한 특수교사와 학부모의 요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시・청각장애인 OTT・VOD 접근성 보장을 위한 법제도 개선 방안 연구
- 점자교원 자격제도 및 점자능력 검정시험 개발을 위한 델파이 연구
- 청소년의 사회 및 정서발달(공감, 공동체 의식)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모자녀의사소통의 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