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일반학급 교사가 인식한 장애학생 학교폭력 유형과 원인 분석
이용수 0
- 영문명
- Cause and type of School Violence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이창훈 권요한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7권 제3호, 41~63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9.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경상남도 통합학급 교사를 대상으로 통합교육환경에서 교사가 인식하는 장애학생 학교폭력에 대한 실태 및 유형과 원인을 설문하여 분석하고 요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학급 일반교사가 인식하는 장애학생 학교폭력 유형으로는 언어 폭력이 가장 많이 나타났고, 발생 시간은 쉬는 시간이, 발생 장소는 학급교실이 가장 높았다. 둘째, 장애학생 학교폭력 관련 요인은 개인 요인에서 2개요인(‘개인 속성’, ‘개인 행동’), 외부 요인에서 5개요인(‘가정’, ‘지역’, ‘학교’, ‘지역’, ‘문화’) 등 총 7개 요인으로 밝혀졌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evant factors, actual status and type an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ose factors for school violence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at teachers have been recognized by the inclusive educational environment.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type of school violence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which is recognized by inclusive classroom teachers, verbal violence occurs most often. The most occurrence time is in recess, the most occurrence place in the class room. In addition, recognition of counselor, special education teacher is the highest. After school violence occurs, measures that schools take has been found to be ‘to guidance in consultation with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 is the most common. Second, divide the variables associated with school violence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by personal variabl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sorder and external variables that may affect the student's school violence such as home, school, community, and investigate the related factors. Also a result of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ose factors, 2 factors in personal variables (‘private attributes', ‘personal behavior'), the 5 factors in the external variables (‘home', ‘relationship', ‘school', ‘community', ‘culture') and turned out to be a factor in a total of 7. Private attribute factors are related to school achievement, disobedience, damage report, hygiene, appearance, intelligence, etc. Personal behavior factors are mainly related to hyperactivity, learning disturbances, communication, interpersonal relations, etc.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일반학급 교사가 인식한 장애학생 학교폭력 유형과 원인 분석
- 태블릿 PC 기반 자기결정교수학습모델(SDLMI) 중재가 초등학교 중도 지적장애 학생의 수업참여행동과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 국내 통합교육 효과 연구에 대한 메타 분석
- 자폐스펙트럼장애 학생의 읽기 교수에 대한 실태와 특수교사의 인식
- 통합학급 교사와 특수학급 교사가 인식하는 실천적 지식 내용에 대한 비교 연구
- 이중언어환경이 운율발달에 미치는 영향
- 자폐범주성아동과 또래간 감정을 나타내는 AAC 상징 인식 비교 연구
- ASD학생의 문제행동 중재 분석
- 자폐스펙트럼 중학생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 경험
- 장애학생의 수련·체험 활동 프로그램에 대한 특수교사와 학부모의 요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