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교과전공 운영에 대한 예비 중등특수교사들의 인식
이용수 0
- 영문명
- Pre-service second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recognition on the implementation of subject major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이병혁 박경옥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7권 제4호, 167~188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12.3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예비 중등특수교사 270명을 대상으로 표시과목 취득을 위한 교과전공의 대한 인식 및 기대효과, 그리고 개선요구 등을 탐색하여 더 유능한 특수교사를 양성할 수 있는 체제를 갖추는 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 중등특수교사들은 개인적 관심에 따라 다양한 교과전공을 선택하고 있었다. 하지만 특수학교 교육과정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교과들이 다수 선택되었으며, 수학, 과학 등은 거의 선택되지 않았다. 둘째, 예비 중등특수교사들의 교과전공 수업에 대한 기대효과는 전반적으로 낮았으며, 특히 교육과정과 관련된 기대효과는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예비 중등특수교사들은 현 교과전공 체제에 변화가 있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었으며 그 대안으로는 교과전공을 특수학교 교육과정에 있는 전체 교과들로 대체하는 방안을 가장 선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교과전공이 일반교육을 기반으로 하고 있어 특수교육 교육과정과 괴리가 심하다는 데 근본적인 원인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특수교육에서의 교과교육의 정체성을 정립하고 이를 바탕으로 특수교육에 적절한 교과전공, 특수교사 양성체제를 수립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ecognition, expectation, and needs for the improvement on subject major to receive the indication subject in the part of pre-service second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n = 270), and then to provide foundational data for building the more effective special education teacher training syste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re-service second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chose diverse subject majors based on their personal preference. However, they picked subject majors that had not directly associated with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whereas they rarely chose math and science. Second, pre-service second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expectation on the outcomes of subject major class was generally low, especially expectation in the curriculum was lower. Third, pre-service second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required the changes in the current system of subject major. As an alternative, it was preferred for them to supplant the current system with the system offering lessons on the whole subjects in the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It was more likely that it was because the regular education base subject majors were not suitable for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Hence, it will be necessary to build the identity of subject education in the special education first, and based on that, proper subject major system, and then special education teacher training system would be design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장애대학생과 비장애대학생의 불안과 진로자기효능감에 대한 인식
- 특수학교 교사의 교직선택 동기와 교직헌신도의 관계
- 강화된 환경중심 언어중재가 발달지체유아의 기능적 의사소통 행동에 미치는 효과
- 중도・중복장애학생을 위한 대안교육과정으로서 현상학적 모형 탐색
-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연구 동향 및 과제
- 청각장애 교사 변인에 따른 국어교과 교수방법 및 성취 기대 수준
- 예비 초등특수교사의 수감각에 대한 연구
- 자연적 언어 중재가 발달지체 유아의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동에 미치는 영향
- 과목흥미척도(CIS)의 국내 타당화 연구
- 교과전공 운영에 대한 예비 중등특수교사들의 인식
- 골덴하르 증후군(Goldenhar syndrome; oculoauriculovertebral dysplasia)아동의 청능재활 사례
- 전환기 장애청소년이 지각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력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5권 12호 목차
- 생성형 AI 챗봇과 중학생의 영어 자유대화 학습경험 사례 분석
- 상담학 전공 학부생의 현직 아동상담사 인터뷰 과제 경험: CQR-M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