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도・중복장애학생을 위한 대안교육과정으로서 현상학적 모형 탐색

이용수  0

영문명
Inquiry of Phenomenological model as Alternative Curriculum for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발행기관
한국특수아동학회
저자명
김혜리
간행물 정보
『특수아동교육연구』제17권 제4호, 1~22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12.31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메를로-퐁티(Merleau-Ponty) 현상학의 이론 중 몸 도식(Schéma corporel), 육화된 의식(embodied consciousness), 살(la chiar), 미적 체험(aesthetic experience)이라는 4가지 주요개념을 중심으로 중도・중복장애학생을 위한 대안교육과정의 논리와 모형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상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론연구를 수행한 결과, 다음의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중도・중복장애학생을 위한 현상학적 교육과정의 궁극적인 목표는 주관적-잠재적 앎을 통한 ‘지금 여기’의 삶을 살아가는 것이다. 둘째, 중도・중복장애학생을 위한 현상학적 교육과정의 내용은 지각, 관계, 습관, 반응이라는 4개 영역으로 구성된다. 셋째, 중도・중복장애학생을 위한 현상학적 교육과정의 방법은 통찰, 체험, 대화, 기술의 4가지 요소로 구성된다. 일정 수준의 인지능력을 중도・중복장애학생에게 강요하는 기능 훈련적 접근 일색의 교육과정이 아니라 중도・중복장애학생의 몸과 실존 및 지각된 세계라는 원초적인 문제에 안착하는 현상학적 접근은 중도・중복장애학생을 위한 고유하고 실제적인 대안교육과정으로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had a purpose that to find the principle and model of alternative curriculum for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by applying body scheme, embodied consciousness, flesh, aesthetic experience as Merleau-Ponty’s phenomenological key concepts. This theoretical research show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 ultimate object of phenomenological curriculum for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is living life in ‘here right now’ through a potential subjective knowledge. Second, Contents of phenomenological curriculum for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is comprised of four fields titled perception, relation, habit, reaction. Third, method of phenomenological curriculum for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is comprised of four elements titled insight, experience, conversation, description. Phenomenological approach have a signification as intrinsic and practical alternative curriculum for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Because of it is focusing on the primordial issue called body, existence and perceived world, not functional training approach to impose a certain level of cognitive abilities unto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목차

Ⅰ. 서론
Ⅱ. 중도・중복장애학생의 대안교육과정 탐색을 위한 현상학의 주요 개념
Ⅲ. 중도・중복장애학생을 위한 현상학적 교육과정 모형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혜리. (2015).중도・중복장애학생을 위한 대안교육과정으로서 현상학적 모형 탐색. 특수아동교육연구, 17 (4), 1-22

MLA

김혜리. "중도・중복장애학생을 위한 대안교육과정으로서 현상학적 모형 탐색." 특수아동교육연구, 17.4(2015): 1-2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