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자연적 언어 중재가 발달지체 유아의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0
- 영문명
- The Effect of Naturalistic Language Intervention on the Nonverbal Communication Behaviors of Young Children with Language Delay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서안우 노진아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17권 제4호, 147~165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12.31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자연적 언어 중재가 발달지체 유아의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동을 증진시키는지 알아보기 위해서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통합유치원 특수학급에 재학하고 있는 발달지체 유아 3명을 대상으로, 중재의 효과성을 알아보기 위해서 대상자 간 중다 기초선 설계를 활용하였고, 기초선, 중재, 유지 순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동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서 자유 선택 활동 시간에 기초선, 중재, 유지 기간 동안의 유아 행동을 비디오로 녹화한 후 이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자연적 언어 중재는 참여 유아의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동을 증가시켰으며, 중재가 종료된 후에도 향상된 행동은 유지되었다. 이 연구는 자연적 언어 중재를 실시하여 발달지체 유아의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동을 증가시켰다는데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naturalistic language intervention on young children’s nonverbal communication behaviors. A multiple baseline design was used for three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enrolled in a special class of integrated kindergarten. Baseline, intervention, and maintenance phases were introduced subsequently. Nonverbal communication behaviors of participants were analyzed after recording their behaviors during free-choice activiti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naturalistic language intervention increased non-verbal communication behaviors of 3 young children and maintained increased behaviors after one week later of intervention termination. The results also showed that naturalistic language intervention used in inclusive setting had a positive effect on non-verbal communication behaviors of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장애대학생과 비장애대학생의 불안과 진로자기효능감에 대한 인식
- 특수학교 교사의 교직선택 동기와 교직헌신도의 관계
- 강화된 환경중심 언어중재가 발달지체유아의 기능적 의사소통 행동에 미치는 효과
- 중도・중복장애학생을 위한 대안교육과정으로서 현상학적 모형 탐색
-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연구 동향 및 과제
- 청각장애 교사 변인에 따른 국어교과 교수방법 및 성취 기대 수준
- 예비 초등특수교사의 수감각에 대한 연구
- 자연적 언어 중재가 발달지체 유아의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동에 미치는 영향
- 과목흥미척도(CIS)의 국내 타당화 연구
- 교과전공 운영에 대한 예비 중등특수교사들의 인식
- 골덴하르 증후군(Goldenhar syndrome; oculoauriculovertebral dysplasia)아동의 청능재활 사례
- 전환기 장애청소년이 지각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력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25권 12호 목차
- 생성형 AI 챗봇과 중학생의 영어 자유대화 학습경험 사례 분석
- 상담학 전공 학부생의 현직 아동상담사 인터뷰 과제 경험: CQR-M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