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발달장애학생의 대학진학 지도에 대한 특수교사의 경험

이용수  0

영문명
The Experience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on University Admission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발행기관
한국특수아동학회
저자명
나인정 이미숙
간행물 정보
『특수아동교육연구』제21권 제1호, 229~248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3.31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이 연구는 발달장애학생의 대학진학 지원에 대한 특수교사의 경험에 대해 살펴보았다. 연구방법: 연구 참여자는 특수교사 중 발달장애학생의 대학진학을 위해 발달장애학생을 지원한 경험이 있는 고등학교 특수교사 4명으로 선정하였고, 자료 수집은 개별면담을 통해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이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교사는 발달장애학생의 대학진학을 위해 입학 정보 제공 등 학생을 준비시키기 위한 다양한 역할과 노력을 기울여 왔다. 둘째, 특수교사는 발달장애학생의 대학진학을 희망하는 학부모가 자녀의 대학진학 결정 과정에서 합리적이지 못한 면이 많다고 하였다. 셋째, 특수교사는 발달장애학생의 대학진학 이후의 생활에 대해 우려하고 있었고, 발달장애학생이 진학할 수 있는 학과의 제한으로 일반교사 및 교육청 관계자 등과 협력적인 대학진학 지도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특수교사는 발달장애학생의 대학진학을 위해 가정, 학교, 국가 등 다양한 차원에서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결론: 발달장애학생의 대학진학을 지원하기 위해 체계적인 부모교육의 제공, 발달장애학생의 자립생활과 자기결정능력의 내용을 포함한 대학진학 지도, 대학진학을 희망하는 장애학생을 위한 별도의 교육과정, 발달장애학생의 대학입학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종합적인 입학정보시스템 등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look over special teachers’ experience about supporting university entrance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Method: Participan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4 special teachers who have experienced supporting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their university entrance, a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ividual interviews.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for university entrance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pecial education teachers have made a great effort providing a variety of entrance information to get students ready. Second, parents who wanted university entrance of thei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ended not to be reasonable when it comes to university entrance decision process of their children. Third, special education teachers had been concerned about life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fter their university entrance. Finally, there should be a great support in many different types of level from home and school to nation. Conclusion: Systematic parent education, university entrance guidance including independent living and self-determination ability for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a comprehensive entrance information system which can offer information about university entrance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hould be provid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나인정,이미숙. (2019).발달장애학생의 대학진학 지도에 대한 특수교사의 경험. 특수아동교육연구, 21 (1), 229-248

MLA

나인정,이미숙. "발달장애학생의 대학진학 지도에 대한 특수교사의 경험." 특수아동교육연구, 21.1(2019): 229-24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