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협력 교수 실행요인에 관한 분석
이용수 0
- 영문명
- An Analysis of Implementation Factors of Co-teaching Between General Teachers and Special Teachers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정대영 이지은 이상로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21권 제1호, 89~118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3.31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협력 교수를 실시한 선행연구의 실행단계를 살펴보고 각 실행단계에서 교사들의 역할, 협의 방법, 관리계획 등 실천 가능한 실행요인들이 무엇인지 분석하여 현장에서 협력 교수를 활성화 할 수 있는 방안을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최근 10년간 논문들 중에서 ‘협력 교수’, ‘협력 중심’, ‘협력적 교수’를 주제로 특수교사와 일반교사가 한 교실에서 장애아동과 비장애아동을 대상으로 실제로 협력 교수를 실행한 절차를 기술한 연구로 제한하여 최종 19편의 논문을 이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선정된 논문들을 협력 교수 지원을 위한 매뉴얼(국립특수교육원, 2016)에 따라 협력 교수 준비, 협력 교수 실시, 협력 교수 운영 결과 평가 3단계에 따라 협력 교수가 어떻게 실행되고 있는지 실행요인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협력 교수를 실시한 선행연구의 실행단계의 실행요인을 분석한 결과 얻어진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협력 교수 준비단계의 요인은 협력 교수 대상 학생 선정, 협력 교수 실행 교사의 선정, 협력 교수 교사 간 협의, 협력 교수 지원 요청, 협력 교수 프로그램 계획, 협력 교수 계획 안내를 포함하고 각 요인별 실행 방법을 알아보았다. 실시 단계 요인은 교사의 역할과 책임, 다양한 전략과 기술, 협력 유형을 실천하는 과정으로 계획한 수업내용, 수업전략, 수업자료, 수업형태, 교사역할을 단위 수업에 직접 실행하는 단계로 준비 단계 요인들을 실행에 옮기는 단계였다. 평가 단계에서는 학생 성취 측면과 프로그램 운영 측면을 평가하는 단계로 학생의 학업적 성취 수준 및 도달 정도와 교사의 전문성 신장요인, 협력 교수에 대한 만족도, 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결론: 이상의 결과로 협력 교수에 대한 심도 있는 질적 연구와 연구대상을 통합학급 교사까지 확대한 연구가 후속적으로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aims to inquire into plans to revitalize co-teaching in the real education field, by figuring out implementation stage of the previous studies which executed co-teaching, and analyzing viable implementation factors, for instance, role, consultation method and management plans of teachers. Method: For the purpose of this, this study selected a total of 19 theses among theses published during the last 10 years focused on “co-teaching”. Pursuant to the manual for supporting co-teaching the implementation factors co-teaching described in the selected these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ree phases of evaluation based on co-teaching preparation, co-teaching execution and co-teaching management results. Results: Firstly, the factors of preparatory stage for co-teaching included selection of students for co-teaching, selection of implementation teachers for co-teaching, consultation between co-teaching teachers, request for support for co-teaching, co-teaching program plans and co-teaching plan guide. Factors of execution stage refer to the process of execution of the role and responsibility of teachers diverse strategies, techniques and collaboration types. The evaluation stage corresponds to the stage of which student achievement and factors of program quality improvement are assessed.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proposed the necessity of follow-up studies for in-depth qualitative studies regarding co-teaching, and expansion of subject of study towards inclusive class teacher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발달장애학생의 대학진학 지도에 대한 특수교사의 경험
- 자폐성 장애아동의 개별화교육프로그램에 관한 미국판례 연구
- 보완대체 의사소통 활용 스토리텔링 중재에 의한 지적장애성인의 내러티브 기술의 변화
- 지적장애자녀를 둔 어머니의 교육 생애사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국내 발달지체 유아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협력 교수 실행요인에 관한 분석
- 특수학교 안 전문적학습공동체 운영의 실제와 함의
- 건강장애 학생의 교육 참여와 부모의 자녀 교육 경험
- 학업성취도가 낮은 학생에 대한 학업성취 프로그램 효과 메타분석
- 상호작용 화이트보드 및 증강현실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한 비디오 모델링 읽기 교수가 읽기부진 학생의 음운변동이 적용되는 단어인지에 미치는 효과
- 지적장애 고등학생의 덧셈문제 해결을 위한 다전략 중재 프로그램의 효과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