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2015 개정특수교육교육과정 적용에 대한 초등특수교사의 인식
이용수 3
- 영문명
- Perception of Element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on Adoption of 2015 National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 발행기관
- 한국특수아동학회
- 저자명
- 김두희 유은정
- 간행물 정보
- 『특수아동교육연구』제22권 제2호, 73~101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0.06.30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2015개정 특수교육교육과정 적용에 대한 실태와 초등특수교사의 인식을 알아보는 데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방법은 FGI를 통한 질적 연구이며, 연구 참여자는 9명의 초등특수교사였다. 포커스그룹 인터뷰 내용은 사례 간 분석을 통해 의미있는 내용을 중심으로 범주화하였다. 연구결과: 내용을 분석한 결과 첫째, 특수교육대상학생에게 적용하는 교육과정 현황 및 실태에서는 특수학교의 경우는 기본교육과정과 특수학급은 기본교육과정과 공통교육과정을 혼용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중도‧중복장애학생의 교육과정의 지침사항과 현실의 불일치로 교육과정 적용에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교현장에서 학생수준이 다양함으로 인해 학교‧학급 단위 교육과정 적용은 현실적으로 맞지 않음을 지적하였다. 둘째, 특수교육대상학생의 수준이 너무 다양하여 2015 특수교육교육과정 적용의 적절성에 대해 초등특수교사는 딜레마를 갖고 있었다. 교과(군)분류와 학년간의 연계도 어려워 교사의 자율권과 성취기준 목록화를 제안하였다. 핵심역량에 대해서는 개념과 이해는 부족하지만 의미있는 시도라고 인식하였다. 향후 특수교육교육과정 개정에 대한 개선 요구사항으로는 중도‧중복장애 학생 교육과정 편제와 시수 조정을 현실적으로 가능하도록 체제를 개선하는 것이 필요하며, 교육과정 적용 및 실제에서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교사에게 연구 기회 제공, 교사의 재량권 확대, 평가에 대한 구체적인 지침이 필요하다고 제안하였다. 결론: 연구결과를 선행연구와 비교한 논의를 토대로, 2015 특수교육교육과정에 대한 실태와 초등특수교사 인식 그리고 특수교육교육과정 개정에 대한 개선 요구사항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ctual status of the application of the 2015 national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and elment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 of it. Method: This study was a qualitative research implementing a focus group interviews of nine element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e study used an inter-case analysis to extract the main themes from the interviews. Results: First, schools applied the 2015 curriculum differently. Most special schools applied the basic curriculum, and most inclusive schools applied basic and core curriculum in mixed. As well, the 2015 curriculum specific to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did not consider the schools' circumstances. Second, the implementation of the 2015 curriculum did not reflect the students' variability in levels of disabilities. There has been a dilemma about the appropriateness of implementing the curriculum among element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ey were especially concerned about the ambiguous categorization of courses and classes, and suggested to enhance teachers’ independence and to catalog the achievement standard. However, they evaluated the core competency of 2015 curriculum as a meaningful change, despite the insufficent consideration of the concept. Conclusion: There was a high demand in improvement of curriculum specific to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to reflect the reality of school administration and time. In addition, they hoped for the opportunity of field research, the increase in their independence on teaching, and concrete guideline on assessment.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