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과정중심평가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이용수  0

영문명
Perception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on Process-Based Assessment: Using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발행기관
한국특수아동학회
저자명
김은라 박재국 백지혜 김상미
간행물 정보
『특수아동교육연구』제22권 제2호, 47~72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6.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과정중심평가에 대한 특수교사의 중요도와 실행도를 탐색하고 IPA 분석을 활용하여 우선적으로 특수교사에게 지원해야 할 과정중심평가의 영역과 항목을 살피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이를 위하여 특수교육기관에 재직 중인 교사 211명을 대상으로 과정중심평가의 중요도와 실행도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연구문제에 따라 대응표본 t-검증, 독립표본 t-검증, 일원변량분석, IPA 매트릭스 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과정중심평가에 대한 특수교사의 중요도와 실행도를 비교한 결과 모든 하위 영역과 세부 문항에 있어 유의미한 차이가 확인되었다. 또한 특수교사의 연령, 경력, 학교급, 그리고 적용하고 있는 교육과정에 따라 과정중심평가의 중요도와 실행도에서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집중적인 지원이 필요하거나 지원을 유지해야 되는 영역은 ‘성취기준 분석 및 평가계획 수립’, ‘과정중심평가 과제 개발’, 그리고 ‘과정중심평가에 대한 피드백 및 결과 기록’ 등 3개, 세부 항목은 총 18개가 도출되었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과정중심평가가 가지는 목적과 중요성에 대한 이해에서부터 교과별 학습 내용에 따른 교수․학습의 방법과 평가 방법을 적용할 수 있는 실무적 지식 등 특수교사가 과정중심평가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 on process-based assessment and the needs of teachers for supporting process-based assessment by using IPA analysis. Method: 211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asked to complete questionnaires on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process-based assessment.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IPA matrix analysis method. Result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 level on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process-based assessment. As well,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y teachers’ age, period of career, grade, and curriculum. Second, 3 domains, ‘establishing achievement criteria and assessment plan’, ‘developing process-based assessment task’, and ‘feedback and results recording’, and 18 items to be supported continually. Conclusion: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rategies for special education teachers to facilitate use of process-based assessment such as understanding the purpose and importance of the process-based assessment and practical knowledge that can be applied to teach and learn methods and evaluation of the learning content were suggest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은라,박재국,백지혜,김상미. (2020).과정중심평가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특수아동교육연구, 22 (2), 47-72

MLA

김은라,박재국,백지혜,김상미. "과정중심평가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 특수아동교육연구, 22.2(2020): 47-7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